사고 위험 줄자 시민 10명 중 9명이 찬성…달라진 거리 풍경

2025-11-03 07:08

add remove print link

서울 시민 98% “킥보드 없는 거리 확대 찬성”

서울 시민 열에 아홉 명은 ‘킥보드 없는 거리’ 확대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에 킥보드 없는 거리 지정을 알리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 뉴스1
서울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에 킥보드 없는 거리 지정을 알리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 뉴스1

최근 도심 곳곳에서 전동킥보드를 타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인도와 차도를 오가며 빠르게 달리면 보행자들은 순간적으로 피하고, 차량 운전자들도 갑자기 튀어나오는 킥보드에 놀라 급히 속도를 줄인다. 헬멧을 쓰지 않거나 두 명이 함께 타는 모습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이동은 편해졌지만 그만큼 사고 위험도 커졌다. 이용이 늘어날수록 도심의 안전을 둘러싼 논의도 함께 커지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5월부터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1.3km)와 서초구 반포 학원가(2.3km) 구간에서 낮 12시부터 밤 11시까지 개인형 이동장치(PM) 통행을 제한하는 ‘킥보드 없는 거리’를 시범 운영해온 결과 보행환경이 개선되고 충돌 위험이 줄었다는 시민 체감도가 높게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시는 6개월간의 시범 운영과 시민 인식조사 결과를 토대로 내달 경찰과 단속 강화 및 통행금지 도로 확대 여부 등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협의할 계획이다.

전동 킥보드를 탄 시민들이 위험한 운행을 하고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뉴스1
전동 킥보드를 탄 시민들이 위험한 운행을 하고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뉴스1

◈ 시민 체감…보행환경 개선 뚜렷

서울시가 지난 8월 홍대와 반포 일대 생활인구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69.2%가 “보행환경이 개선됐다”고 답했고 77.2%는 “킥보드와의 충돌 위험이 줄었다”고 응답했다. ‘킥보드 없는 거리’ 확대에 대해서는 98.4%가 찬성했다. 전동킥보드 통행량 감소를 체감했다는 응답이 76.2%, 무단방치가 줄었다는 응답은 80.4%로 나타났다. 홍대 레드로드에서는 응답자의 84.8%가, 반포 학원가에서는 76%가 “무단 방치가 줄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53.2%)은 ‘킥보드 없는 거리’를 인지하고 있었으며 80.8%는 표지판이나 노면표시, 현수막 등 안내시설을 통해 관련 정보를 접했다고 답했다.

전동킥보드를 이용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22.2%에 그쳤다. 연령대별로는 40세 이상 시민이 18~30세보다 통행금지 시행의 긍정적 효과를 더 크게 체감했다. 사업 시행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시민 중에서도 61.1%가 “보행환경이 개선됐다”고 답해 현장 중심의 효과가 확인됐다.

불편을 느꼈다고 답한 시민은 2.6%(13명)에 불과했으며, 다수는 “일시적인 제약보다 보행 안전 개선이 더 크다”고 평가했다. 시민들은 향후 보행 밀집 지역이나 안전 취약지역으로의 확대 필요성에 대해서도 98% 이상이 찬성 의견을 냈다.

헬멧을 미착용한 공유형 전동 킥보드를 이용자 / 뉴스1
헬멧을 미착용한 공유형 전동 킥보드를 이용자 / 뉴스1

◈ 사고 이어지며 필요성 커져

최근 전동킥보드 관련 사고가 잇따르면서 ‘킥보드 없는 거리’의 필요성도 더욱 주목받고 있다. 지난 6월 인천에서는 무면허 전동킥보드 단속 중 경찰관이 고등학생을 다치게 하는 사고가 있었고, 지난달에는 인천 연수구에서 무면허 중학생이 탄 킥보드에 30대 여성이 치여 중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에 연수구는 송도 학원가 일대를 ‘킥보드 없는 거리’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운전면허 확인을 의무화하는 법 개정도 검토 중이다.

◈ 단속 강화·시설물 확충 추진

현재 ‘킥보드 없는 거리’는 낮 12시부터 오후 11시까지 통행이 금지되며 이를 위반할 경우 일반도로는 범칙금 3만 원과 벌점 15점, 어린이보호구역에서는 범칙금 6만 원과 벌점 30점이 부과된다.

경찰이 헬멧을 미착용한 공유형 전동 킥보드를 이용자를 단속하고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뉴스1
경찰이 헬멧을 미착용한 공유형 전동 킥보드를 이용자를 단속하고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뉴스1

서울시는 시민 인식조사와 운영 실태를 종합해 경찰과 협의, 단속 강화와 통행금지 도로 확대 등 제도적 보완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현장 계도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56.1%, 표지판이나 노면표시 등 시설물 추가 설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37.2%로 나타나 이에 대한 보완 조치도 병행될 예정이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시민 인식조사 결과 킥보드 통행 제한이 보행 안전 지표 개선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보행자와 개인형 이동장치 이용자가 안전하게 공존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한 보행환경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킥보드 없는 거리 시민들 반응 / 유튜브,KBS News
home 정혁진 기자 hyjin27@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