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금기였던 재료였는데…삼양이 36년 만에 다시 끓인 ‘한국 라면’

2025-11-03 10:53

add remove print link

삼양이 다시 끓인 ‘1963년의 국물’

삼양식품이 36년 만에 우지로 만든 프리미엄 라면을 선보였다.

한 마트에서 삼양라면을 비롯한 라면을 판매하고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뉴스1
한 마트에서 삼양라면을 비롯한 라면을 판매하고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뉴스1

뉴스1에 따르면 삼양식품은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신제품 ‘삼양1963’ 출시 발표회를 3일 열었다. 이번 제품은 60여 년 전 첫 삼양라면의 레시피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차세대 라면으로 삼양라면의 정통성과 기술 혁신을 동시에 담아냈다. 발표회 장소는 창업주 故 전중윤 명예회장이 한국 최초의 라면을 개발했던 남대문시장 인근으로 브랜드의 뿌리를 상징적으로 되새긴 자리다.

새로 선보인 ‘삼양1963’은 삼양식품이 1989년 ‘우지 파동’ 이후 처음으로 내놓은 우지(牛脂) 라면이다. 삼양식품은 이번 제품을 단순한 복원이 아닌 “미래를 위한 초석”으로 소개했다. 면을 튀길 때 1960년대 유탕 처리 방식을 현대적으로 재현해 동물성 기름 우지와 식물성 기름 팜유를 황금 비율로 섞은 ‘골든블렌드 오일’을 사용했다. 이를 통해 면 특유의 고소한 향과 감칠맛을 살리고 조리 과정에서 기름이 자연스럽게 용출돼 면과 육수가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됐다.

3일 오전 서울 중구 보코 서울 명동 호텔에서 열린 '삼양라면 1963' 신제품 출시 발표회에서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제품을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 / 뉴스1
3일 오전 서울 중구 보코 서울 명동 호텔에서 열린 '삼양라면 1963' 신제품 출시 발표회에서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제품을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 / 뉴스1

국물 역시 사골육수를 기반으로 만들어 면에서 배어나온 우지의 풍미를 한층 높였다. 여기에 무와 대파, 청양고추를 더해 깔끔한 뒷맛과 은은한 얼큰함을 강조했다. 스프 구성은 액상스프와 후첨분말후레이크로 이뤄졌으며 원재료의 풍미를 최대한 살리는 조리 방식을 적용했다. 후레이크는 큼직한 단배추와 대파, 홍고추로 구성해 식감과 감칠맛을 더했고, 동결건조공법을 적용해 재료 본연의 향과 질감이 오래 유지되도록 했다.

◈ 1989년 라면을 뒤흔든 불신의 파동, ‘우지 파동’

삼양식품은 이날 신제품 출시일을 1989년 11월 3일 ‘우지파동’ 발생일과 맞춰 의미를 더했다. 36년 전 우지 파동은 잘못된 정보로 촉발돼 삼양라면이 시장 점유율을 잃는 계기가 되었지만, 이번 ‘삼양1963’을 통해 브랜드의 정통성과 기술력을 다시 세우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우지 파동’은 1989년 11월 우리나라 식품업계를 뒤흔든 원료 논란 사건이다. 당시 라면 제조 과정에서 사용된 ‘우지(牛脂, 소기름)’가 식용이 아닌 비식용 공업용 원료라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사회적 파장이 일었다. 익명의 제보를 계기로 검찰이 조사에 착수했고, 여러 언론이 “라면에 공업용 기름이 쓰였다”는 자극적인 보도를 내보내자 소비자 불안이 걷잡을 수 없이 번졌다.

삼양 '우지라면', 36년만의 귀환 / 뉴스1
삼양 '우지라면', 36년만의 귀환 / 뉴스1

조사 결과, 정부는 “라면 제조에 사용된 우지는 식품용이며 인체에 해롭지 않다”고 발표했지만 이미 여론은 식품업체에 대한 불신으로 기울어 있었다. 당시 시장의 선두였던 삼양식품은 ‘비식용 우지 사용’ 의혹의 중심에 놓이면서 브랜드 신뢰도가 크게 추락했고, 라면 시장 점유율도 급락했다.

이 사건 이후 국내 라면업계는 대부분 우지를 사용하지 않고 식물성 기름인 팜유로 전환했다. ‘우지 파동’은 결과적으로 잘못된 정보와 과장된 보도로 인한 소비자 불신이 기업의 명운을 바꿔놓은 대표적 사례로 남았으며 식품 안전과 원료 표시의 중요성을 일깨운 계기가 됐다.

유튜브, 라면 평론가 지영준(라면 정복자 피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우지는 삼양라면의 풍미를 완성하던 진심의 재료였으며 삼양식품이 추구해온 진정한 맛의 철학이었다”며 “‘삼양1963’은 과거의 복원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초석”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국의 미식문화를 세계로 전파하는 글로벌 식품기업으로서 또 한 번의 혁신을 시작하겠다”고 강조했다.

삼양식품은 이번 신제품을 통해 전통적인 제조 철학과 현대 기술을 접목한 프리미엄 라면 시장 공략에 나선다. 라면의 본질적인 맛을 재해석하면서도 고급화 트렌드에 맞춰 미식적 가치를 높였다는 점에서, ‘삼양1963’은 삼양라면의 새로운 출발점이자 상징적인 복귀 선언으로 평가된다.

유튜브, 서울경제TV

※ 광고용으로 작성한 글이 아니라는 점을 밝힙니다.

home 정혁진 기자 hyjin27@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