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버스, 운항 재개 3일 만에 선착장 내 스타벅스 정전 유발... 서울시 입장은?

2025-11-03 21:03

add remove print link

오전에 발생한 사고... 완전 복구는 마감 후 예정

한강버스가 운항을 재개한 지 사흘 만에 여의도 선착장에서 접안 충격으로 인한 정전 사고가 발생했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으며 사고는 매장 내부 전기 계통 문제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정전으로 불이 꺼진 서울 여의도 한강버스 선착장 3층 스타벅스 내부. 일부 손님들이 어둑한 매장에서 한강을 바라보고 있다. / 뉴스1
정전으로 불이 꺼진 서울 여의도 한강버스 선착장 3층 스타벅스 내부. 일부 손님들이 어둑한 매장에서 한강을 바라보고 있다. / 뉴스1

3일 서울시와 여의도 선착장 내 스타벅스(Starbucks) 측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50분경 한강버스가 여의도 선착장에 접안하던 중 충격이 발생해 3층에 위치한 스타벅스 매장의 전등 일부가 꺼지는 정전이 일어났다.

매장 내 스위치가 일시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조명 전원이 차단됐고, 고객들은 즉시 대피하지는 않았지만 매장 일부 구역이 어두워지는 소동이 벌어졌다.

스타벅스는 같은 날 오후 2시 30분경 전문 수리업체에 수리 의뢰를 접수했다. 이후 오후 6시 30분쯤 매장 전력의 약 3분의 2가량이 복구됐으며, 복구되지 않은 한강 조망 창가 쪽 조명은 영업 종료 이후 복구 작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시는 이번 사고 원인을 선착장 구조와 배 접안 과정에서의 일시적 충격으로 보고 있다.

시 관계자는 "선착장에는 원래 충격방지용 방현재(고무 완충재)가 설치돼 있으나, 접안용 줄을 당기는 과정에서 평소보다 큰 충격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선착장과 선박이 직접적으로 부딪친 것은 아니고 완충재를 통해 충격이 흡수된 상태였다"며 "이 정도의 진동이나 충격은 접안 과정에서 항상 일정 수준 발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시는 당시 충격이 선착장 전체에 영향을 줄 정도로 강하지 않았다는 점에도 주목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만약 충격이 컸다면 선착장 내 입점한 다른 점포인 CU, BBQ 등에서도 이상이 발생했을 것"이라며 "현 상황은 단순한 전기라인 접촉 불량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현재 시는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다.

한강버스는 지난 9월 29일부터 약 한 달 동안 잦은 고장으로 인해 정식 운항을 중단한 바 있다. 당시 안전성 확보와 품질 개선을 위해 무탑승 시범운항을 진행했고, 지난 1일부터 운항을 재개했다. 현재 마곡, 망원, 여의도, 압구정, 옥수, 뚝섬, 잠실 등 7개 선착장을 하루 16회 운항하고 있다.

시는 이번 정전 사고를 경미한 사례로 분류하면서 향후 재발 방지를 위해 방현재 점검과 선박 접안 교육을 강화할 방침이다.

home 방정훈 기자 bluemoon@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