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최근 사망한 북한 김영남, 경북고 나온 대구 출신”

2025-11-05 09:42

add remove print link

“내년 3월 북미 정상회담 가능”

2018년 9월 18일 평양남북정상회담 특별수행원 자격으로 방북한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이 평양 중구역 만수대의사당에서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면담에 앞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 뉴스1
2018년 9월 18일 평양남북정상회담 특별수행원 자격으로 방북한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이 평양 중구역 만수대의사당에서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면담에 앞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 뉴스1

북한 외교 원로이자, 김정일 집권기 대외적 국가수반으로 최근 사망한 김영남 전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대구 출신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문재인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장을 지낸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5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3일 97세를 일기로 사망한 김 전 위원장과 관련해 "김영남 위원장과 열 차례 만나는 등 저와 특별한 인연이 있어 조문 특사를 자청했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전날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김 전 위원장과 각별한 인연을 강조하며 정부에 조문 차 평양을 다녀오겠다며 허락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면서 "그분은 경북고를 졸업한 대구 출신이다"며 새로운 사실을 공개했다.

이는 김 전 위원장은 평양 출신으로 중국 흑룡강성 조선족 중학교, 평양로농정치학교를 거쳐 모스크바 대학교를 졸업했다는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는 다른 내용이다.

박 의원은 김 전 위원장 조문 의사에 대해 "북한이 오늘까지 답을 보내지 않으면 못 간다"며 북측이 자신의 뜻을 받아주기를 희망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적대적 두 국가론을 앞세운 북한이 호응할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박 의원은 또한 전날 국정원이 비공개 국정감사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미국과 대화 의지를 갖고 있다. 내년 3월이 북미 정상회담 성사의 분기점이 될 것이다'고 보고한 것에 대해 "아무래도 국정원은 정보를 잘 파악하고 있기에 대북 문제에 대해선 국정원을 믿어도 좋다"며 성사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아울러 "문재인 전 대통령이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때 '3월 한미연합훈련 연기' 시나리오로 남북 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 개최에 성공했다"며 "국정원이 한미연합훈련 연기라는 정책적 발표를 하기는 어렵지만 그 길도 있을 것"이라며 정부와 미국이 모종의 설득책을 내놓을 것으로 내다봤다.

2019년 2월 9일 강원도 평창올림픽스타디움에서 열린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공동입장하는 남과 북 선수단을 보며 기뻐하고 있다. 문 대통령 뒷쪽에 자리한 북한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도 박수를 치고 있다. / 뉴스1
2019년 2월 9일 강원도 평창올림픽스타디움에서 열린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공동입장하는 남과 북 선수단을 보며 기뻐하고 있다. 문 대통령 뒷쪽에 자리한 북한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도 박수를 치고 있다. / 뉴스1

한편, 1928년생으로 알려진 김 전 위원장은 김일성·김정일·김정은 3대에 걸쳐 좌천되지 않고 중책을 맡아온 인물이다. 1998년 김정일 정권 이후 21년간 대외적 국가수반인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지냈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때 북한 고위급 대표단을 이끌고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과 함께 문재인 대통령을 면담하기도 했다. 2019년 91세로 공직 생활을 마감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전날 주요 간부들과 함께 김 전 위원장의 시신이 안치된 평양시 보통강구역 서장회관을 찾아 조문했다. 김 전 위원장의 장례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와 내각 결정에 따라 국장으로 치러진다.

home 안준영 기자 andrew@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