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4000 붕괴’ 표현 두고 정치권 충돌…여당이 대안으로 언급한 '단어'

2025-11-05 20:07

add remove print link

코스피 3900선 붕괴 두고 여야 공방

미국 기술주 급락 여파로 코스피 지수가 장중 3900선 아래로 밀리자 여야가 시장 평가를 두고 날 선 공방을 벌였다.

여당은 “붕괴라는 단어는 과장된 표현”이라며 신중론을 내세운 반면, 야당은 “단어 사용까지 간섭하느냐”며 반발했다.

5일 오전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최고위원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오늘 코스피가 4000선 밑으로 내려왔지만, 이는 예견된 조정 국면으로 봐야 한다”며 “'숨 고르기'라는 표현도 있다. 그런데 ‘붕괴’라는 표현은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그는 “언론이 지나치게 자극적인 표현을 쓰면 투자자 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뉴스1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뉴스1

실제 이날 코스피는 미국 나스닥 하락과 인공지능(AI) 관련주 조정의 영향으로 장중 6% 넘게 급락했다. 외국인 투자자는 하루 만에 2조5000억원 가까이 순매도했다. 증권가에서는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에 대한 부담이 커지면서 단기 조정이 불가피한 구간”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민주당은 시장 불안을 자극하는 단어 선택이 오히려 ‘공포 심리’를 키울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박 수석대변인은 “코스피가 잠시 기준선을 밑돌았다고 해서 붕괴라 단정 짓는 건 사실과 맞지 않는다”며 “정말로 시장이 무너지는 상황이 오면 그때 써야 할 표현”이라고 했다.

이에 국민의힘은 즉각 반격에 나섰다.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민주당은 코스피가 4000선을 돌파했을 땐 자화자찬을 늘어놓더니, 하락하니 이제는 ‘붕괴’라는 말도 쓰지 말라 한다”며 “이재명 정부에선 시장용어까지 검열하겠다는 것이냐”고 비판했다. 그는 “주가 지수를 정치 성과처럼 포장하는 게 더 문제”라며 “정상적인 경제라면 지수 등락에 일희일비할 이유가 없다”고 지적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뉴스1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뉴스1

여야의 공방 배경에는 이재명 정부의 ‘코스피 5000’ 공약이 깔려 있다. 정부와 여당은 기업 배당소득 분리과세, 자사주 소각 의무화 등으로 투자 매력을 높여 증시 체질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글로벌 경기 둔화와 고금리 환경 속에서 주가가 연일 하락세를 보이자, 정책 실효성에 대한 의문도 커지고 있다.

home 김민정 기자 wikikmj@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