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부산도시공사 사장, 반복되는 감사 적신호 앞에 책임은 어디에 있는가

2025-11-06 07:42

add remove print link

- 지속가능한 개선체계가 작동하지 않은 결과라면 책임이 경영진에 있다

부산도시공사 전경. / 사진제공=부산도시공사
부산도시공사 전경. / 사진제공=부산도시공사

[전국=위키트리 최학봉 선임기자] “사장은 어디 있었나”라는 질문이 다시 떠오른다. 부산도시공사의 사장 신창호가 2024년 12월 공식 취임했지만, 그 이전부터 반복돼온 감사지적과 이번 채용실태 감사 결과가 겹쳐지면서 책임 있는 리더십의 부재가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2025년 채용실태 특정감사에서 서류심사 점수 검증 누락과 경력 중복산정 등의 채용 절차 허점이 드러났다.

지난해 2024년 종합감사에서도 인사·복무 분야 및 인사관리 체계 전반에서 위법·부당사항 18건이 확인됐다. 이처럼 반복되는 지적사항은 위탁·방조된 ‘관리감독 미비’라는 공통된 구조적 문제를 드러낸다.

부산광역시 감사위원회의 ‘2025년 채용실태 특정감사’ 결과, 부산도시공사가 또다시 채용 과정에서 허술한 관리 실태를 드러냈다. 결과는 명확하다. 서류심사 점수 검증 누락, 경력 중복산정, 내부통제 부재 어느 것 하나 공기업의 이름에 걸맞지 않았다.

부산도시공사는 일부 채용에서 심사표 점수를 별다른 검토 없이 입력한 사례가 확인됐다. 심사위원이 점수를 매기면 그것이 그대로 결과가 되는 구조, 다시 말해 검증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았던 것이다. 공정채용의 기본 전제는 절차적 투명성이다. 점수 산정의 근거가 불분명하고 검증 절차가 빠져 있다면, 그 채용 결과가 아무리 ‘적법’해도 신뢰를 얻을 수 없다.

또한 경력 산정 과정에서 동일 기간을 중복 계산해 가산점을 부여한 사례도 드러났다. 지원자 간 형평성을 무너뜨릴 수 있는 중대한 결함이다. 감사위는 이 부분에 대해 ‘개선’ 조치를 내리며, 부산도시공사에 경력인정 기준을 명문화하라고 요구했다.

문제는 이런 사안이 ‘지적’ 수준에 그쳤다는 점이다. 징계는커녕 행정상 주의와 개선 요구에 그친 것은, 내부 통제의 취약함이 제도적으로 반복될 수 있음을 예고한다.

공기업의 채용은 단순한 인사 절차가 아니다. 시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조직이기에, 한 명의 채용도 사회적 신뢰 위에 서야 한다. 그러나 이번 감사 결과는 “채용의 공정성보다 편의가 우선된 조직 문화”를 그대로 드러냈다.

부산도시공사는 매번 감사 결과가 나올 때마다 “개선하겠다”는 말만 되풀이해왔다. 하지만 매년 반복되는 지적은 ‘개선 의지의 부재’를 입증하는 증거일 뿐이다. 채용 과정의 투명성 확보는 이제 선택이 아니라 의무다.

시민들은 묻는다. 부산도시공사는 과연 공정한 절차 속에서 인재를 뽑고 있는가. ‘주의’나 ‘개선’이라는 행정용어 뒤에 숨기엔, 신뢰를 잃은 채용 시스템의 민낯이 너무도 명확하다.

신 사장은 리더로서 관리감독 체계 구축과 내부통제 강화를 책임져야 한다. 그러나 감사결과는 “심사표 검증이 작동하지 않았다”, “동일 기간 경력이 중복 산정됐다” 등 기본 절차마저 흔들리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킨다.

특히 채용이라는 공공기관의 핵심 인사절차에서 이런 허점이 반복적으로 지적되는 것은 단순히 절차 미숙이 아니라 조직문화·시스템 설계·책임성 결여의 문제로 봐야 한다.

신 사장 취임 이후 이런 문제를 인지하고 개선 의지를 제시했다면, 이번 채용 감사 지적은 더욱 무겁게 다가온다. ‘변화 선언’이 있었음에도 지속가능한 개선체계가 작동하지 않은 결과라면 책임이 경영진에 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신사장은 리더로서 관리감독 소홀로 서류심사부터 경력인정까지, 부산도시공사가 통제력을 잃었다.”

이 한 줄이, 이번 감사가 남긴 냉정한 평가다. 본지는 공공 기관이 발주하고 시공하는 현장을 면밀히 살피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주변 민원을 청취하여 추적 보도할 것 이다.

home 최학봉 기자 hb7070@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