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온 지 24년 됐는데…지금 극장가 반응 제대로 터진 총 수익 4조 '명작'

2025-11-07 15:23

add remove print link

전설적 판타지의 귀환, 스크린을 다시 울리다
세대를 초월한 반지의 마법, 또다시 펼쳐지다

이전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전설적인 판타지 명작이 다시 스크린으로 돌아왔다.

‘반지의 제왕' 3부 예고편 / 유튜브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반지의 제왕' 3부 예고편 / 유튜브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지난 5일 21세기 판타지 영화의 정수 ‘반지의 제왕’ 3부작 중 첫 번째 작품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가 국내 최초로 돌비 포맷으로 메가박스 단독 재개봉했다. 같은 날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 따르면 해당 작품은 박스오피스 8위에 오르며 TOP 10에 진입하며 흥행을 예고했다.

이 영화는 중간계를 지배하려는 어둠의 군주 사우론이 만든 절대반지를 파괴하기 위해 주인공인 프로도가 엘프·드워프·인간 동료들과 함께 떠나는 위대한 여정을 그린다.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스틸컷 / 워너브라더스코리아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스틸컷 / 워너브라더스코리아

2001년 개봉한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는 전 세계적인 신드롬을 일으키며 판타지 영화의 새 지평을 열었다. 당시 전 세계에서 약 8억 9770만 달러(한화 약 1조 2000억 원)의 흥행 수익을 기록하며, 21세기 초반 가장 성공적인 프랜차이즈의 서막을 알렸다.

시리즈 누적 수익은 더욱 어마어마하다. 세 편을 합친 총 수익은 무려 당시 기준 약 29억 1749만 달러(약 4조 2490억 원)에 이른다.

이 흥행은 원작의 깊이를 완벽히 스크린에 옮겨낸 피터 잭슨 감독의 연출력이 만들어낸 결과였다. 그는 방대한 원작을 압축하면서도 중간계의 생명력을 그대로 살려내 전 세계 관객의 찬사를 받았으며, 이후 ‘두 개의 탑’과 ‘왕의 귀환’으로 이어지는 대서사시의 기반을 닦았다.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는 상업적 성공을 넘어 비평적으로도 극찬을 받았다. 당시 제74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감독상 등 주요 부문 후보에 오르고, 촬영상·분장상·음악상·시각효과상 등 4개 부문을 수상하며 작품성과 기술력을 동시에 인정받았다.

이번 재개봉은 돌비의 프리미엄 HDR 영상 기술과 차세대 입체음향이 결합된 돌비 시네마 전용 상영관에서 만나볼 수 있다. 메가박스는 돌비 비전(Dolby Vision®) 기술을 통해 엘프의 도시 리벤델, 드워프의 고대 광산 모리아 그리고 끝없는 여정의 풍경들을 더욱 풍성하게 선사한다.

또한 하워드 쇼어의 웅장한 음악은 돌비 애트모스(Dolby Atmos®) 사운드로 재현돼 모험의 긴장감과 감동을 극대화한다.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스틸컷 / 워너브라더스코리아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스틸컷 / 워너브라더스코리아

호빗 프로도 역의 일라이저 우드는 순수함과 절망 그리고 반지의 유혹에 흔들리는 인간적인 내면을 섬세하게 표현하며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이안 맥켈런은 현명하고 강력한 마법사 간달프로 분해 압도적인 존재감을 보여줬고, 비고 모텐슨은 고뇌하는 영웅 아라고른을 완벽하게 그려내며 월드 스타 반열에 올랐다.

또한 올랜도 블룸은 엘프 레골라스로 등장해 세기의 판타지 아이콘으로 떠올랐다. 이 외에도 숀 애스틴(샘), 숀 빈(보로미르) 등 배우들이 각자의 인생 캐릭터를 만들어냈다.

메가박스는 이번 돌비 포맷 재개봉을 기념해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한다. 3부작을 모두 관람한 관객에게는 절대반지를 연상시키는 골드 링 경품 이벤트가 마련됐다. 또한 2025학년도 수능 수험생에게는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돌비 시네마 관람권(1만 원권)을 제공한다. 이번 재개봉을 통해 극장에서 처음 ‘반지의 제왕’을 만나는 세대들에게도 세대를 초월한 감동을 전할 예정이다.

이번 돌비 리마스터 상영은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를 시작으로 12월 초 ‘두 개의 탑’, 2026년 1월 초 ‘왕의 귀환’이 순차적으로 재개봉한다.

세대를 넘어 사랑받는 불멸의 명작, ‘반지의 제왕’은 다시금 그 위대한 여정을 스크린 위에서 이어간다.

home 유민재 기자 toto7429@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