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속 장소 정하기 전 확인…네이버 지도에 ‘이 기능’ 생겼다

2025-11-10 10:54

add remove print link

바로 예약·결제까지…생활형 서비스로 진화

하나의 앱으로 식당 예약부터 항공권까지 가능한 시대가 열렸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AI로 만든 이미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AI로 만든 이미지

예전에는 길을 찾기 위해 지도를 열었지만 요즘은 이유가 조금 다르다. 약속 장소를 정하거나 주말 나들이를 계획할 때도 먼저 지도를 펼쳐본다. 화면을 옮기며 주변 맛집을 살피고 별점 높은 카페나 숙소를 고른다.

리뷰 몇 줄만 읽어도 분위기가 그려지고 지도를 따라 하루의 동선이 자연스레 완성된다. 이런 흐름에 맞춰 네이버는 지도 앱 안에서 식당·여행·레저 등을 한눈에 예약할 수 있는 ‘예약 탭’을 새로 선보인다.

네이버는 네이버지도 앱에 식당, 액티비티, 이동수단 등 다양한 예약 서비스를 한눈에 모아볼 수 있는 ‘예약’ 탭을 도입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개편은 이날부터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이용자가 지도 하나로 생활 전반의 예약을 보다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네이버, 지도앱에 '예약' 탭 도입 / 네이버 제공
네이버, 지도앱에 '예약' 탭 도입 / 네이버 제공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네이버지도 상단 탭은 ▲발견 ▲예약 ▲대중교통 ▲내비게이션 ▲저장 등으로 새롭게 구성됐다. 새로 추가된 ‘예약’ 탭에서는 네이버 예약이 가능한 음식점과 카페는 물론 레저·티켓, 체험·클래스, 여행, 항공권 등 일상 속 다양한 예약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 기존처럼 장소 검색 시 필터를 일일이 설정할 필요 없이 ‘예약 검색’ 기능으로 예약 가능한 장소만 모아볼 수 있어 탐색 과정이 한층 간편해졌다.

예약 후에는 이용자 맞춤형 안내 기능도 제공된다. 예약 일정 알림과 함께 해당 장소 주변의 가볼 만한 곳을 추천받을 수 있고 예약 관련 혜택과 기획전 정보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네이버는 단순 예약을 넘어 ‘발견부터 이용까지’ 이어지는 경험을 완성도 있게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고 설명한다.

외국인 사용자 편의도 강화됐다. 네이버지도는 영어, 중국어, 일본어 3개 언어를 지원하고 외국인 관광객이 당일 바로 예약할 수 있는 식당이나 인기 관광지 여행상품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구성했다. 한국의 주요 명소와 레저 프로그램도 함께 소개돼 방한객의 이용 접근성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네이버, 지도앱에 '예약' 탭 도입 / 네이버 제공
네이버, 지도앱에 '예약' 탭 도입 / 네이버 제공

그동안 미용실, 식당, 전시, 체험 등 다양한 일정을 간편하게 예약할 수 있었던 ‘네이버 예약’은 이미 생활 속에 깊이 자리 잡은 플랫폼이다.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를 직접 선택해 예약할 수 있고 병원·카페·공연·클래스 등 업종도 폭넓다. 별도의 앱 설치나 전화 문의 없이 네이버 검색이나 플레이스 화면에서 바로 예약이 가능하며, 완료된 일정은 자동으로 저장된다.

취소나 변경도 간단하고, 후기와 결제까지 한 번에 해결되는 점이 이용자들 사이에서 높은 만족도를 얻고 있다.

이번에 네이버지도에 탑재되면서 이러한 편리함은 한층 커질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는 검색이나 개별 링크를 거치지 않아도 지도에서 바로 예약 가능한 장소를 찾고 위치 기반으로 주변 시설까지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미용실 예약 후 근처 맛집을 찾거나 여행지에서 숙소와 체험을 동시에 예약하는 식의 연결이 가능해지면서 예약 경험의 완결성이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네이버지도 서비스를 총괄하는 최승락 부문장은 “네이버지도 이용자 중 62%를 차지하는 MZ세대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여러 앱을 오가며 예약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였다”며 “발견부터 예약, 혜택까지 모두 네이버지도 안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서비스 완성도를 높였다”고 말했다.

네이버지도는 월간활성이용자수(MAU)가 3000만 명을 넘어서는 국내 대표 지도 플랫폼으로, 이번 개편을 통해 ‘온라인에서의 발견’을 ‘오프라인의 경험’으로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올인원 플랫폼으로의 진화를 예고했다.

※ 광고용으로 작성한 글이 아니라는 점을 밝힙니다.

home 정혁진 기자 hyjin27@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