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판 붙은 두 사람?…김민석 총리-오세훈 시장이 '공방전' 벌인 이유
2025-11-11 10:26
add remove print link
종묘 인근 세운 4구역 재개발 두고 갈등 벌이고 있는 중앙정부와 서울시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종묘 맞은편 세운 4구역 재개발을 둘러싸고 중앙정부와 서울시가 정면 충돌했다.

아래 영상을 재생해 '읽어주는 뉴-우스'를 경험해 보세요. 복잡하고 긴 기사 글, 이제 편하게 귀로 들어보세요.
👇👇👇👇👇👇
김민석 국무총리는 지난 10일 종묘를 직접 찾아 서울시의 고층 개발 방침을 공개 비판하며 중앙정부 차원의 개입을 공식화했고, 오세훈 서울시장은 “종묘 훼손은 결단코 없다”며 공개토론을 제안하고 정면 반박에 나섰다.
김 총리는 “K-문화와 K-관광이 부흥하는 시점에서 자칫 문화·경제·미래 모두를 망칠 수 있는 결정”이라며 “종묘 바로 앞 고층 건물은 시야를 가리고 숨을 막히게 하며 기를 눌러 유네스코 등재 자체를 위협할 수 있다”고 우려를 밝혔다. 그는 서울시를 향해 한강버스 추진 과정의 논란을 거론하며 “국민적 우려를 경청하라”고도 지적했다.
오 시장은 “세계인이 찾는 종묘 앞을 더는 방치할 수 없다”며 “세운 4구역 재정비촉진사업은 오히려 종묘의 생태·문화적 가치를 높이는 방향”이라고 맞섰다. 세운상가 일대의 노후·슬럼화 문제를 ‘도시의 흉물’로 규정한 그는, 종묘에서 멀어질수록 건물 높이를 높이는 계단형 스카이라인과 열린 공간 조성으로 조망과 녹지축을 확보하겠다고 설명했다. 중앙정부의 문제 제기 방식에 대해서는 “소통이 아닌 정치적 프레임”이라며 “김민석 총리와의 공개토론이나 면담을 통해 설명하겠다”고 했다.

논란의 도화선은 지난달 30일 고시된 ‘세운재정비촉진지구 및 4구역 재정비촉진계획’ 변경이었다. 서울시는 종로변 건축물 최고 높이를 55m에서 101m로, 청계천변은 71.9m에서 145m로 상향했다.
여기에 지난 6일 대법원이 서울시의회가 제정한 문화재 관련 규제 완화 조례를 둘러싼 행정소송에서 문화체육관광부가 아니라 서울시 손을 들어주면서 사업은 탄력을 받았다. 최휘영 문체부 장관은 지난 7일 종묘에서 “권한을 조금 가졌다고 해서 하고 싶은 대로 다 하겠다는 서울시의 발상을 이해할 수 없다”고 반발했고, 오 시장은 같은 날 세운상가 옥상에서 “재개발이 종묘의 역사성과 문화재적 가치를 더 돋보이게 할 것”이라고 재반박했다.
이번 대립은 정치권으로도 번졌다. 차기 서울시장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김 총리와 오 시장의 ‘정면충돌’은 최근 구로구 새벽 인력시장 관련 예산 논쟁에 이어 또 한 차례 벌어진 셈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오세훈 서울시장 시정 실패 및 개인 비리 검증’ 태스크포스를 꾸리고 공세 수위를 높였다. 민주당 지도부는 “종묘 앞 초고층 허용은 개발을 빙자한 역사 파괴이자 서울의 품격 훼손”이라고 비판했다. 여권과 국민의힘 사이에서는 ‘세운 4구역’ 논쟁이 2026년 지방선거의 전초전이자 수도권 부동산·도시재생 이슈의 시험대가 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서울시는 계획의 정당성과 보완책을 강조하며 추진 의지를 굽히지 않고, 중앙정부는 문화재 보존 원칙을 내세워 제동을 예고한 상태다. 공개토론 제안과 현장 점검이 이어지는 가운데, 종묘 보존과 도심 재생을 어떻게 조화할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갈등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