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만큼 사랑스러운 사람을 본 일이 없다'…역대 수능 필적 확인란 문구 모음

2025-11-12 17:12

add remove print link

수능 필적 확인란의 비밀스러운 이야기
감동의 문장으로 수험생의 마음을 울리다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11월 13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필적 확인란 문구 / 온라인 커뮤니티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필적 확인란 문구 / 온라인 커뮤니티

수능이 다가오며 역대 수능 필적 확인란 문구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그간 수능 필적 확인란 문구는 따스한 문장으로 수험생을 비롯한 사회 전역에 큰 감동을 선사했다.

답안지 상단의 필적 확인란 문구는 2006학년도 수능부터 도입됐다. 이는 당시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휴대전화를 통한 부정행위만 300여 명에 달해 생겨난 부정행위 재발 방지 장치다. 이 문구는 단순한 받아쓰기가 아닌 필적 감정을 위한 본인 확인 자료로 쓰이는 셈이다.

필적 확인 문구 선정에는 엄격한 기준이 있다. 평가원은 필적 감정에 필요한 기술적 요소를 중시한다. 문구는 띄어쓰기를 제외하고 12자에서 19자 사이여야 한다. 필체가 상이하게 드러나는 자음인 'ㄹ', 'ㅁ', 'ㅂ' 중 2개 이상이 포함돼야 한다. 수능과 모의평가에서는 겹받침이 하나 이상 포함되기도 한다. 이러한 기술적 기준을 충족함과 동시에 수험생에게 용기와 희망을 줄 긍정적인 메시지를 담아야 한다. 평가원은 국내 문학 작품들을 후보로 둬 여러 구절 중 하나를 신중히 택한다.

한편 12일 교육부에 따르면 2026학년도 수능은 13일 오전 8시 40분부터 오후 5시 45분(일반수험생 기준)까지 전국 1310개 시험장에서 실시된다.

이번 수능엔 작년보다 3만 1504명(6.0%) 늘어난 총 55만 4174명이 지원했다. 총응시자 수로는 2019학년도(59만 4924명) 이후 7년 만에 가장 많다.

올 수능에는 어떤 문구로 수험생들의 마음을 녹일지 주목된다.

다음은 역대 수능 필적 확인란 문구다. (2006학년도 ~ 2025학년도)

2006학년도 (2005년 시행): 흙에서 자란 내 마음 파란 하늘빛 (정지용, '향수')

2007학년도 (2006년 시행):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정지용, '향수')

2008학년도 (2007년 시행): 손금에 맑은 강물이 흐르고 (윤동주, '소년')

2009학년도 (2008년 시행): 이 많은 별빛이 내린 언덕 위에 (윤동주, '별 헤는 밤')

2010학년도 (2009년 시행): 맑은 강물처럼 조용하고 은근하며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2011학년도 (2010년 시행): 날마다 새로우며, 깊어지며, 넓어진다 (정채봉, 첫 마음')

2012학년도 (2011년 시행): 진실로 내가 그대를 사랑하는 까닭은 (황동규, '즐거운 편지')

2013학년도 (2012년 시행): 맑은 햇빛으로 반짝반짝 물들으며 (정한모, '가을에')

2014학년도 (2013년 시행): 꽃초롱 불 밝히듯 눈을 밝힐까 (박정만, '작은 연가')

2015학년도 (2014년 시행): 햇살도 둥글둥글하게 뭉치는 맑은 날 (문태준, '돌의 배')

2016학년도 (2015년 시행): 넓음과 깊음을 가슴에 채우며 (주요한, '청년이여 노래하라')

2017학년도 (2016년 시행): 흙에서 자란 내 마음 파아란 하늘빛 (정지용, '향수')

2018학년도 (2017년 시행): 큰 바다 넓은 하늘을 우리는 가졌노라 (김영랑, '바다로 가자')

2019학년도 (2018년 시행): 그대만큼 사랑스러운 사람을 본 일이 없다 (김남조, '편지')

2020학년도 (2019년 시행): 너무 맑고 초롱한 그 중 하나 별이여 (박두진, '별밭에 누워')

2021학년도 (2020년 시행): 많고 많은 사람 중에 그대 한 사람 (나태주, '들길을 걸으며')

2022학년도 (2021년 시행): 넓은 하늘로의 비상을 꿈꾸며 (이해인, '작은 노래 2')

2023학년도 (2022년 시행): 나의 꿈은 맑은 바람이 되어서 (한용운, '나의 꿈')

2024학년도 (2023년 시행): 가장 넓은 길은 언제나 내 마음속에 (양광모, '가장 넓은 길')

2025학년도 (2024년 시행): 저 넓은 세상에서 큰 꿈을 펼쳐라 (곽의영, '하나뿐인 예쁜 딸아')

유튜브, 크랩
home 유민재 기자 toto7429@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