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추적'] 코레일 부채 21조·현장 안전 무방비… “위기인데 위기 아닌 척” 하는 조직
2025-11-19 12:28
add remove print link
- “부채 21조 방치… 위기 앞에서도 변명뿐인 코레일”
- “서류만 안전, 현장은 무방비… 중대재해를 부르는 조직”
- “납품 지연 업체와 재계약… 공기업 책임의식은 어디에”

[전국=위키트리 최학봉 선임기자] 숫자는 이미 경고하고 있었다… ‘21조 부채’의 현실 2025년 국정감사에서 코레일의 재무 상황은 더 이상 숨길 수 없는 수준으로 드러났다. 부채는 21조원을 넘어섰고, 하루에만 10억 원이 넘는 이자를 내는 구조가 고착됐다.
승객 수요는 늘고 있으나 좌석 공급은 이를 따라가지 못해 ‘만석 운행’이 일상화됐다. 구조적 적자가 이어지는데도 문제의 근본 원인을 짚으려는 내부 논의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적자 확대는 외부 요인”이라는 코레일의 답변은 이제 더 이상 설득력을 얻지 못한다.
안전관리 부실… 서류엔 인력 ‘충분’, 현장은 ‘텅 빈’ 상태
올해 국감에서 가장 강도 높은 질타는 단연 안전관리였다. 선로 인근 작업자 보호 장비가 현장에서 임의로 꺼져 있었고, 위험 구역에 설치돼야 할 CCTV도 빠져 있었다.
특히 문제는 서류상 인력과 실제 투입 인력의 불일치였다. 보고서에는 “안전요원 배치 완료”라고 적혀 있었지만, 국회의원들이 확인한 실제 현장은 인력이 턱없이 부족했다.
하청노동자에게 안전책임을 떠넘기는 관행이 여전히 반복된다는 점에서 국회는 “중대재해를 부르는 시스템적 결함”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납품 지연 업체와 재계약… ‘제 식구 챙기기’인가, 관리 포기인가
국감에서는 코레일의 계약·입찰 관리 부실도 도마 위에 올랐다.여러 차례 납품을 지연한 업체와 버젓이 재계약을 반복한 사례가 확인됐다. “준공 일정 차질을 일으킨 업체를 왜 다시 선택했는가”라는 질문에 코레일은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못했다.
입찰 과정에서 ‘납품 능력 평가’가 사실상 형식에 그친다는 비판도 이어졌다. 공기업의 계약 시스템이 민간보다 후퇴했다는 지적은 결코 과장이 아니다.
조직개편·SR 통합 논의는 ‘지연’, 책임 소재는 ‘희미’
SR과의 통합 및 고속열차 공급 확충은 수년간 이어진 주요 현안이지만, 국감에서 드러난 코레일의 대응은 미온적이었다. 중련 편성 등 좌석난 해소 방안이 거론됐음에도 코레일은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는 답변만 반복했다.
통합과 개편 로드맵 역시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하지 못해 “국민 불편은 방치하고 조직 이익만 지키려 한다”는 비판을 피하지 못했다.
코레일은 늘 “국민의 발”을 자처해 왔다. 그러나 국감에서 확인된 코레일의 모습은 그 역할과는 거리가 멀었다.
안전은 서류로 관리되고, 부채는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으며, 입찰과 계약은 관행처럼 굳어 있다. “문제가 없다”는 태도보다 더 위험한 것은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고치지 않는 조직문화다.
국민은 더 이상 “철도는 원래 그렇다”는 변명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2025년 국정감사가 코레일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할 마지막 경고일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