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대학 '통합 바람'에 제동…공주시의회, 공주대-충남대 통합 반대 특위 구성
2025-11-20 12:50
add remove print link
“독립성과 정체성 훼손” 우려…타지역도 통합 갈등 속출
지방대 위기 해법으로 통합 추진되지만 지역사회 반발 커져

[충남=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지방대학 위기를 돌파하기 위한 정부 주도의 대학 통합 정책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지역사회의 반발도 거세지고 있다. 충남 공주에서는 공주시의회가 국립공주대학교와 충남대학교의 통합을 정면으로 반대하고 나섰다.
공주시의회는 20일 제262회 제2차 정례회 제1차 본회의를 열고 ‘국립공주대학교와 충남대학교 통합 반대 특별위원회’를 공식 출범시켰다. 이번 특위 구성은 송영월 의원의 대표발의로 추진됐으며, 의회는 통합 논의의 일방성과 졸속 추진을 강하게 비판했다.
두 대학은 지난 5월 교육부의 ‘초광역 글로컬대학’ 사업에 예비 지정된 후, 9월 본지정 대학으로 선정됐다. 정부는 2028년 3월까지 통합대학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대학 경쟁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지역사회에서는 대학의 정체성과 학문적 독립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공주시의회는 앞서 260회 임시회에서 임달희 의장은 반대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힌 데 이어, 261회 임시회에서는 통합 반대 결의안을 채택하고, 송영월 의원이 다시금 통합 중단을 촉구하는 발언을 했다.
이번 특위는 21일 제1차 회의를 열고 위원장과 부위원장을 선출한 뒤, 교육부 및 관계 기관을 직접 방문하고 조직적인 대응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의회는 “통합 반대 의사가 관철될 때까지 강력하고 지속적인 활동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한편, 이 같은 갈등은 충북 청주에서도 유사하게 전개되고 있다. 청주대와 서원대 통합 추진 과정에서도 학생과 교수, 동문들의 반발이 잇따르며 협의가 교착 상태에 빠졌다. 지역대학의 생존 문제를 정부 주도의 구조조정에 맡기기보다는, 지역성과 교육 자율성을 보장하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지역 대학은 단순한 교육기관을 넘어 지역 정체성과 인재 양성의 핵심 기반이다. 그만큼 대학 통합은 단순한 숫자의 문제가 아닌, 지역의 미래와 직결된 중대한 사안이라는 점에서 보다 신중한 논의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