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언석, 의원 107명 전원 상대로 '계엄 사과' 묻는다

2025-11-27 17:15

add remove print link

계엄 사과 여부, 시기·방식 등에 대한 의견 수렴 중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2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의장 주재 원내대표 회동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뉴스1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2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의장 주재 원내대표 회동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뉴스1

비상계엄 1년인 다음 달 3일이 코앞에 다가온 가운데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당 의원 전원을 대상으로 계엄 사과 여부와 방식 등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고 있다고 한국경제가 27일 인터넷판으로 단독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송 원내대표는 전날부터 이날까지 원내부대표들을 통해 당 의원 107명을 직접 접촉해 계엄 사과 여부와 시기·방식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 중이다. 한 국민의힘 지도부 관계자는 초·재선 의원 중에는 계엄 사과가 꼭 필요하다는 입장이 많고, 다선의원으로 갈수록 계엄 사과에 대해 회의적인 목소리가 많은 것으로 안다고 매체에 전했다.

국민의힘의 한 초선 의원은 "계엄사과는 반드시 필요하고 107명 모두가 함께 사과했으면 좋겠다는 의사를 전달했다"며 "시기는 추경호 전 원내대표 구속영장실질심사 결과가 나오기 전이 좋지 않겠나 싶다"고 말했다.

송 원내대표가 의견 수렴에 나선 건 당 지지율 상황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당 지지율이 20%대 박스권에 갇히면서 국민의힘 내부에서 다음달 3일 당이 반성과 사과의 메시지를 내야 한다는 의견이 분출하고 있다.

당 차원에서 관련 메시지 발신이 미진할 경우 재선의원이 주축이 된 공부모임 '대안과 책임'을 중심으로 여러 의원들과 함께 개별적인 메시지를 내는 방침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고 매체는 전했다. '대안과 책임'엔 권영진·박정하·배준영·서범수·엄태영·이성권·조은희·최형두 의원 등이 참여하고 있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좀처럼 오르지 않고 있다.

이날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발표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에 따르면,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이 39%, 국민의힘이 22%, 조국혁신당이 3%, 개혁신당이 2%, 진보당이 2%다. 이번 조사는 지난 24~26일 만 18세 이상 남녀 1003명을 대상으로 국내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16.5%다.

한국갤럽이 지난 21일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국민의힘 지지율은 24%를 기록해 민주당(43%)보다 19%포인트(p)나 낮았다. 이 조사는 18~20일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에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 접촉률은 46%, 응답률은 12.5%다.

이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42%가 '여당(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고 답한 반면 야당을 꼽은 응답자는 35%에 그쳤다. 특히 중도층에서는 여당 후보 다수 당선 기대가 44%로 야당 후보 다수 당선 기대 30%를 크게 앞질렀다.

이 같은 여론조사 결과는 부동산 이슈나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등 야당에 유리하고 여권에 타격이 될 수 있는 악재가 있음에도 국민의힘 지지율이 오르지 않는 상황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국민의힘 의원 중 상당수는 당 지도부의 '우클릭'으로 지지율이 좀체 오르지 못하고 박스권에 머물고 있다고 본다. 윤 전 대통령과 절연하지 못하고 계엄에 대해 제대로 사과하지 않아 일반 국민의 외면을 자초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당내에서는 탄핵 사태 직후 비상대책위원회가 출범하면서 계엄 사태에 이미 여러 차례 사과했고, 사과가 오히려 여당의 이른바 '내란 세력' 공격에 빌미를 주고 강성 지지층 반발도 불러올 수 있다고 보는 시각도 여전하다.

당내에서는 특검이 추경호 의원에게 청구한 구속영장 심사 결과가 대국민 메시지의 최대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적지 않다. 특검이 내란주요임무종사 혐의로 청구한 영장이 발부되면 강경 투쟁론이 다시 힘을 받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글에서 언급한 여론조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home 채석원 기자 jdtimes@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