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어원 트윗으로 보는 '올바른 표기법'

2013-03-26 15:35

add remove print link

국립국어원(@urimal365) 트위터에는 올바른 우리말 표기법을 묻는 트위터 이용

국립국어원(@urimal365) 트위터에는 올바른 우리말 표기법을 묻는 트위터 이용자들의 문의가 쇄도하고 있는데요.

국립국어원 트위터는 "우리말 관련 질문에 대해서는 오전 9시까지 올라온 것은 그날 오후 2시까지, 오후 2시까지 올라온 것은 그날 오후 6시까지, 오후 2시 이후 올라온 것은 다음 날 오후 2시까지 답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국립국어원 트위터로 전해진 '헷갈리는 우리말의 올바른 표기법'을 모아봤습니다.

1. '너'와 '네' 표현방법

2. '넘어'와 '너머'의 차이

3. '커플룩'을 다듬는 말 '짝꿍 차림'

4. 복수 표준어 된 '묫자리'

5. '투성이입니다', '투성입니다' 둘 다 사용 가능

6. '했을 때', '했었을 때' 둘 다 사용 가능

7. '귀이개'가 옳은 표기

8. '찰지다'는 방언

9. '애들'과 '얘들'의 쓰임

10. 이름과 씨를 띄어 쓰나요?

11. '부딪히다'와 '부딪치다' 구별법

12. 복수 표준어 된 '만날[맨날]'

13. '비밀에 부치다’가 알맞은 표현

14. 화를 크게 내는 것 '대로'

15. '쫓다'와 '좇다'의 차이

16. '값어치'의 표준 발음

17. '일일이'가 옳은 표기

18. '트랜스 지방'의 다듬은 말 '변이 지방'

19. '허구한 날'이 옳은 표기

20. '며칠'이 옳은 표기

21. '노랑색'은 '노랑'으로 표기

22. '만듦'이 옳은 표기

23. '잊히다'가 옳은 표현

24. '타임캡슐'을 다듬는 말 '기억상자'

25. '클린 센터'를 다듬는 말 '청백리 마당'

26. '터프가이'를 다듬는 말 '쾌남아'

27. ‘시답지 않다(시답잖다)’가 옳은 표기

28. '퍼렜다'가 옳은 표기

29. '귀띔'이 표준어

30. '칠칠하다'는 성질이나 일 처리가 반듯하고 야무짐을 뜻한다

home 김도담 기자 stor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