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랭 드 보통의 '인생 철학' 트윗 25선
2014-12-10 18:53
add remove print link
연합뉴스 스위스 출신의 철학자 알랭 드 보통(Alain de Botton)은 상아탑에 갇

스위스 출신의 철학자 알랭 드 보통(Alain de Botton)은 상아탑에 갇힌 철학이 아니라, 우리가 살 때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인생 철학을 전파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한국에서도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불안' 등의 저서로 널리 알려져 있다.
알랭 드 보통은 트위터도 열심히 한다. 트윗으로 나눈 그의 생각을 모아 봤다.
1. 늘 단점을 과장해야 한다. 이미 슬펐던 사람은 위로를 얻을 것이요, 행복했던 사람은 운이 좋다고 느낄 것이다.
One should always exaggerate the downside. Those who already feel sad will be reassured. Those who are happy will feel lucky.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November 29, 2014
2. 두 사람을 끌어당기는 건 둘의 유사함이다. 하지만 '차이를 다루는 방식'이 관계를 유지시킨다.
It's the similarities that bring two people together; but the way the differences are handled that keeps them so.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October 19, 2014
3. 직장에서 조용한 삶을 영위하는 비결은 이렇다. 회사가 의지할 정도로 유용하진 말되, 해고될 만큼 무용하지는 말 것.
Secret to a quiet life at work: be unhelpful enough you'll never be relied upon for much - but not so unhelpful you'll be sacked.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November 15, 2014
4. 설득력 : 자신의 현재 관점을 유지하지 않는 게 어떤 느낌이라는 걸 기억하는 것
Being persuasive: remembering what it felt like not to hold one's current point of view.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November 15, 2014
5. 용서는 좋은 기억력을 요한다. 다른 사람이 좀 봐주지 않았으면, 우리가 해내지 못했을 그 모든 순간에 대한 기억.
Forgiveness requires a good memory - of all the times we wouldn't have made it unless someone had cut us some slack.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November 14, 2014
6. 당신 일을 잘 알지 못하는, 그 편안하고도 흥미진진한 순간에 있을 때, 일은 가장 보람차다.
Work is most fulfilling when you're at the comfortable, exciting edge of not quite knowing what you are doing.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November 14, 2014
7. 실패자의 정의 : 다른 사람의 실패를 필요로 하는 사람
Definition of a failure: someone who needs other people to fail.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November 14, 2014
8. 누군가를 보지 않겠다 결심하는 건, 슬프게도 그들을 내 인생/상상에서 몰아냈다는 걸 보장하지 않는다.
Deciding not to see someone in person is, sadly, not always a guarantee you can get them out of your life/imagination.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November 12, 2014
9. 대부분의 사람에게, 예술에 대한 사랑은 뮤지엄에서 그림 보는 걸 의미하지 않는다. 차와 옷에 대해 깊이, 그리고 지적으로 생각하는 걸 의미한다.
For most people, loving art doesn't mean pictures in museums: it means thinking deeply and intelligently about cars and clothes.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November 8, 2014
10. 멍청한 걸 말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은 (멍청한 사람은 이런 두려움을 절대 갖지 않는다) 나쁜 생각보다는 좋은 생각을 훨씬 많이 검열한다.
The fear of saying something stupid (which stupid people never have) has censored far more good ideas than bad ones.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November 2, 2014
11. 괜찮은 작가가 되기 위해선, 첫 초고의 대재난을 스스로 용서해야 한다.
To become a proper writer, you have to forgive yourself the catastrophe of the first draft.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November 2, 2014
12. 꽃, 아름다운 하늘, 평범하고도 지루한 날의 의미를 깨닫기 위해선, 당신은 인생한테 약간 시달려야 한다.
You have to be bashed about a bit by life to see the point of flowers, pretty skies and uneventful 'boring' days.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November 1, 2014
13. '다른 사람이 어떻게 생각할까'라는 두려움 : 당신을 사랑하는 사람은 거의 없고, 아주 약간만 당신을 미워하며, 거의 대부분은 전혀 신경쓰지 않는다는 사실을 기억하라.
For paranoia about 'what other people think': remember that very few love, only some hate - and nearly everyone just doesn't care.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November 1, 2014
14. 현대 권력이 이해하는 것 : 정보를 검열할 필요 없다. 그냥 사람들의 주의를 근사하게 흐트려 뜨려라.
What modern power has understood: there's no need to censor information, all you need to do is keep people nicely distracted.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October 26, 2014
15. 도덕성의 근간은 우리가 늘 잊는 이 질문에 있다. "이게 당신 아이였다면? 이게 당신이라면?"
The foundation stone of morality: the always forgotten questions: 'What if this were your child? What if this was you?'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October 25, 2014
16. 소셜미디어의 정신 : 즉각 기분이 상하는 광기, 즉각 기분이 상하는 걸 자랑스러워하기, 용서나 이해에 대해 낮은 평가
Spirit of social media: mania for taking immediate offence, pride in doing so, low prestige of forgiveness or understanding.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October 19, 2014
17. 인류가 주기적으로 과학의 핵심적 요소를 잊어버린다면, 원성이 자자할 것이다. 하지만 지혜가 사그라들때는 항의없이 넘어간다.
If humanity routinely forgot key bits of science there would be an outcry, but regular erosions in wisdom go by without protest.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November 20, 2014
18. 사람을 더 착하게 만들기 위해선, 죄책감을 주는 걸로는 부족하다. 선한 게 매력적으로 느껴져야 한다.
If you want people to improve it’s not enough to make them feel guilty. You have to make it feel attractive to be good.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October 11, 2014
19. 행복 : 야망 하나를 성취하고 그 다음 야망이 나타날 때까지의 그 축복받은 10분.
Happiness: that blessed 10 minute interval between the resolution of one ambition and the emergence of the next.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September 24, 2014
20. 적이 생기는 게 인생이 잘못돼 간다는 징조로 느껴질지 모른다. 하지만 그건 몇 가지 신념을 갖게 됐다는 의미에 더 가깝다.
Acquiring enemies may feel like a sign one's life has gone wrong: but it's more likely an indication one's found a few things to believe in.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September 18, 2014
21. 나폴레옹이 말했다. 누군가를 이해하기 위해선, 그들이 스무 살이었을 때 세상이 어땠는지를 이해해야 한다고.
Napoleon said: To understand someone, you have to understand what the world looked like when they were twenty.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September 14, 2014
22. 외로움이란 전염병은 외로움을 치료하려면 로맨틱한 연애를 해야한다는 잘못된 생각에 의해 만들어진다.
An epidemic of loneliness created by the misguided idea that the only cure to it lies in romantic relationships.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September 14, 2014
23. 유일하게 정상적이라 생각할 수 있는 사람들은 우리가 아직 잘 모르는 사람들이다.
The only people we can think of as normal are those we don't yet know very well.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September 14, 2014
24. 더 성공적으로 느끼는 두 가지 방식 : 더 성취해라. 그리고 주변을 당신보다 덜 성취한 사람들로 가득 채워라.
2 ways to feel more successful: achieve more. Or surround ourselves with people who have achieved less.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2016년 1월 18일
25. 첫 데이트에서 무조건 질문 해야 하는 것 하나 : 어떤 특별한 방식으로 당신은 미쳐 있나요?
A standard question on any initial dinner date should simply be: ‘So in what particular ways are you crazy?" pic.twitter.com/zMjEiIqd9w
— Alain de Botton (@alaindebotton) 2015년 12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