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하늘에서 '수백만 거미'가 비처럼 내린 사연

2015-05-17 16:46

add remove print link

[지난 2012년 호주 와가와가에서 내린 '거미 비' 클로즈업 사진 / 이하 호주=로이터

[지난 2012년 호주 와가와가에서 내린 '거미 비' 클로즈업 사진 / 이하 호주=로이터 뉴스1]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주에 때아닌 '소나기'가 내렸다. 하늘에서는 '빗방울' 대신 '새끼 거미'가 쏟아져 내렸다.

영국 '인디펜던트(Independent)' 등 외신은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주에 위치한 골번(Goulburn) 하늘에서 수백만 마리 거미가 떨어져내렸다고 14일(현지시각) 보도했다.

거미 비는 지난 4일 골번에서 목격됐다.

지역 주민 중 하나는 "베란다에 앉아 있는데 수많은 명주실이 하늘에 떠있는 것처럼 보였다"며 "30분 정도 계속됐다"고 말했다.

또 다른 주민인 이안 왓슨(Ian Watson)은 '비'가 너무 심해 작은 거미들이 머리 위로 자리 잡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고 전했다.

왓슨은 "마을이 전부 작고 검은 새끼 거미들로 뒤덮였다. 고개를 들어 해를 보자 200미터 높이 '거미줄 터널'이 하늘 높이 솟아있는 것처럼 보였다"고 말했다.

[지난 2012년 호주 와가와가 마을 사진. 당시 큰 홍수로 인해 거미가 집단 이주했었다.]

이어 "당시 마을에서 10분 거리 정도 떨어져 있었는데 수백 마리 작은 거미가 거미줄과 함께 떠다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우리 집도 거미줄로 뒤덮였다"며 "거미줄이 몸에 걸리지 않고는 어딜 나갈 수가 없었다. 난 수염도 있는데, 수염 속까지 거미가 들어왔다"고 전했다.

한국에서는 흔치 않은 일이지만, 세계적으로 '거미 비'는 드문 일이 아니다. 하얗게 내린 거미줄 탓에 '엔젤 헤어(Angel Hair)'라고도 불리는 이 현상은 거미들이 대량으로 이주할 때 주로 목격된다.

거미들의 이주 방법 중 하나인 '벌루닝(Ballooning)'은 높은 나무로 올라가 뛰어내리며 거미줄을 낙하산처럼 타고 내려오는 기술이다.

일부 과학자들은 거미들이 세계 모든 대륙에서 발견되는 이유가 이 '벌루닝' 기술 때문이라고 추정하기도 했다.

[지난 2013년 브라질에서 발견된 '벌루닝' 현장 / 유튜브 'GabeHashTV']

home stor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