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작 압도" 해외영화·드라마·만화·게임 속 '초월번역' 20선
2016-10-06 19:30
add remove print link
'초월번역'은 원작의 대사·제목·명칭이 한국어로 옮기는 과정에서 원작보다 훨씬 좋아진 경우
'초월번역'은 원작의 대사·제목·명칭이 한국어로 옮기는 과정에서 원작보다 훨씬 좋아진 경우다. 반면 너무 번역을 못 해서, 다른 의미로 '초월'한 번역도 여기 속한다.
해외 영화, 드라마, 만화, 게임 속 '초월번역' 20선이다.
1. "꿈은 높은데, 현실은 시궁창이야" (영화 '8마일' 대사)
원래 대사 : "꿈 속에서 그만 살고, 언제 현실로 돌아와야 하냐고?(Like when you gotta stop living up here and start living down here?)"
2. "당신의 눈동자에 건배" (영화 '카사블랑카' 대사)
원래 대사 : "자 그러면, 건배(Here's looking at you, kid)"
3. "이 구역의 미친X은 나야" (미드 '가십걸' 대사)
원래 대사 : "내가 이 근처에서 미친X으로 통하지(I am the crazy bitch around here)"
4. "내일은 내일의 태양이 뜬다"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대사)
원래 대사 : "내일은 다른 날이 되겠지(Tomorrow is another day)"
5. "석양이 진다..." (게임 '오버워치' 대사)
원래 대사 : "정오가 됐군(It's high noon)"
6. "존X 좋군?" (영화 '8마일' 대사)
원래 대사 : "병X(Asshole)"
7. "접니다. 데드풀" (영화 '데드풀' 포스터 문구)
원래 문구 : "새로운 클래스의 슈퍼 히어로(New Class of Super Hero)"
8.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영화 '햄릿' 대사)
원래 대사 : "존재하느냐, 아니냐. 그게 문제다(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
9. "등짝, 등짝을 보자!" (만화 '베르세르크' 대사)
베르세르크 명장면: 등짝! 등짝을 보자!! pic.twitter.com/j07UR9sk6x
— 8 (@neparul) 2014년 12월 18일
원래 대사 : "넌 감비노에게 팔린 거야!(おまえは売られたんだよ ガンビーノに!)"
※ 동성에 의해 성폭행 당하는 상황을 묘사한 대사(돈 주고 팔렸으니, 성관계 맺어도 괜찮다는 뜻)였지만, 국내 심의 문제로 위와 같이 수정됐다.
10. '죽은 시인의 사회' (영화 제목)

원래 제목 : "고전시 낭독 모임(Dead Poets Society)"
※ 원제를 그대로 직역했다.
11. '사랑과 영혼' (영화 제목)

원래 제목 : "유령(Ghost)"
12. '가을의 전설' (영화 제목)

원래 제목 : "몰락의 전설(Legends of the fall)"
※ 원제 속 '몰락(The fall)'을 '가을(Fall)'로 오역했다.
13. '피바라기' (게임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아이템)
원래 이름 : "피에 굶주린 것(Bloodthirster)'
14. "집에 가서 애나 봐, 짜샤" (영화 '터미네이터2' 대사)
원래 대사 : "잘가, 친구(Hasta la vista, BABY)"
15. "무슨 마약을 하시길래 이런 생각을 했어요?" (만화 '심슨 가족' 대사)
원래 대사 : "님들은 이 생각하면서 뭘(대마초) 피웠어요?(What were you guys smokin' when you came up with that?)"
16.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영화 제목)

원래 제목 : "보니와 클라이드(Bonnie And Clyde)"
17. '박물관이 살아있다' (영화 제목)
원래 제목 : "박물관의 밤(Night at the Museum)"
18. "용의 콧물!" (만화 '디지몬 어드벤처')
원래 대사 : "얼티미트 스트림!(Ultimate Stream!)"
19. "모든 랜턴들은 반지를 착용했으며, 그 중엔 반지를 닦아주는 이도 있었다" (영화 '그린랜턴')

원래 대사 : "반지를 낀 모든 랜턴들 가운데 가장 빛나는 이가 있었다(Of all the Lanterns who have ever worn the ring... there was one whose light shined brightest)"
※ '샤인(Shine)'을 "빛나는"이 아니라 "빛을 내주다, (반지를) 닦다"로 오역했다.
20. "안녕하신가, 힘세고 강한 아침, 만일 내게 물어보면, 나는 왈도" (게임 '마이트 앤 매직 6')
@assahorangnabi 웜머 왈도체 드립이었...... ㄷㄷㄷㄷㄷㄷ pic.twitter.com/Sgh1utnhiI
— RUKXER (@RUKXER) 2016년 7월 1일
원래 대사 : "안녕하신가! 좋은 아침이네. 나는 왈도라고 하네(Hello there! Mighty fine morning, if you ask me! I'm Waldo)"
※ 문장을 직역하면서 희대의 명대사가 탄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