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CJ엔터테인먼트

“탁 하고 치니, 억 하고 죽었다”... 1987 그때의 기억이 영화로

2017-11-14 16:00

add remove print link

배우 김윤석, 하정우, 유해진, 김태리, 박희순, 이희준 씨 등이 주연을 맡아 열연했다.

# 그날의 기억

이하 연합뉴스
이하 연합뉴스

서울 남영동 대공분실로 연행된 서울대생 박종철 씨. 수사관들이 그를 추궁한다. "지금 그 자식 어딨어?"

수사관들은 박종철 씨에게 '서울대 민주화추진위원회 사건' 관련 주요 수배자 소재를 다그쳐 물었다.

박종철 씨가 끝내 "모른다"고 하자 그들은 박 씨를 욕조로 끌고 갔다.

고문이 시작됐다. 박종철 씨는 지속적으로 그의 행방에 대해 모른다고 주장했지만 경찰은 고문을 멈추지 않았다.

한번 시작된 물고문은 강도를 더해갔고, 결국 목 부분이 욕조에 눌린 박종철 씨는 의식을 잃었다. 박종철 씨는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결국 숨을 거뒀다.

이 비극은 1987년 1월 14일, 서울 남영동 대공분실(현 경찰청인권센터)에서 실제로 벌어진 일이다. 서울대 언어학과 2학년생 박종철 씨는 이날 모진 고문으로 숨졌다. 박종철 씨는 숨졌지만, 경찰과 정부는 사건을 은폐하려 했다. 이를 눈치챈 검사와 우연히 사건의 단서를 접하게 된 기자의 기사로 이 비극은 세상에 알려졌다.

박종철 씨 아버지는 숨진 아들 유해를 임진강에 뿌렸다. 아버지는 아들을 보내며 "종철아, 잘 가그래이. 아부지는 아무 할 말이 없대이"라며 눈물을 쏟았다.

# “책상을 탁 하고 치니, 억 하고 죽었다”

경찰은 고문치사 사실을 전면 부인했고, 치안본부 측에서는 박종철 씨 죽음에 대해 “책상을 탁! 치니까 억! 하고 죽었다”고 발표했다.

당시 치안본부장은 "내가 아는 한 가혹행위는 없었다”며 "먼저 가족들에게 경찰이 결백하다는 걸 납득시키고 부검 결과가 나오면 나중에 떳떳이 전모를 밝히겠다"고 했다. 그는 "박종철 군을 처음 본 중앙대 부속병원 의사가 박 군이 쇼크사로 숨진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모두 거짓이었다. 부검 결과 박종철 씨 사인은 질식사로 밝혀졌다. 박종철 씨 죽음에 대한 치안본부장의 어이없는 해명은 전국민적 반발을 샀다.

'박종철 군 고문치사 은폐사건'으로 구속된 치안본부장
'박종철 군 고문치사 은폐사건'으로 구속된 치안본부장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은 1987년 ‘6·10 민주항쟁’의 불씨를 지폈다. 한 청년의 죽음은 민주주의에 대한 시민들의 열망을 깨웠다. 결국 군사독재를 마감하고 대통령 직선제로 대표되는 87년 체제를 이끌었다.

# 잊어서는 안 될 역사적 순간

‘5·18 민주화 운동’만큼이나 중요한 현대사가 드디어 영화화된다. 박종철 씨 고문 치사 사건부터 6월 민주 항쟁에 이르는 역사적 순간을 담은 영화 ‘1987’이 개봉을 준비 중이다.

유튜브, CJ Entertainment Official

'지구를 지켜라',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로 잘 알려진 장준환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그는 “많은 사람들이 용기를 내서 무언가를 성취하고, 쟁취한 때가 있었다”며 “1987년을 살았던 사람들을 통해, 팍팍하고 갑갑한 이 세상에서 용기와 희망을 얻어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충무로를 대표하는 배우들도 역사의 순간에 함께했다. 배우 김윤석, 하정우, 유해진, 김태리, 박희순, 이희준 씨 등이 주연을 맡아 열연했다.

CJ엔터테인먼트 제공
CJ엔터테인먼트 제공

영화는 1987년 민주화 항쟁의 기폭제가 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이 은폐되자, 끝까지 진실을 밝히기 위해 용기 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우리가 잊어서는 안 될 1987년, 그날의 역사적 순간을 스크린에서 만나자.

home 박민정 기자 story@wikitre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