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 확성기:말 좀 합시다] ㈜명신의 GM군산공장 부지 인수에 대한 입장
2019-06-28 18:02
add remove print link
민노총 전북본부 "장밋빛 전망 넘치지만 차분히 짚어봐야 할 점 많아"

민주노총 전북본부가 28일 ㈜명신의 GM군산공장 부지 인수에 대한 입장을 내놓았다.
민노총 전북본부는 이날 논평을 통해 "㈜명신이 GM군산공장 부지인수 잔금을 납부했다"며 "GM군산공장 매각 후 전기자동차 생산 등 여러 장밋빛 전망이 넘치지만 차분히 짚어봐야 할 점이 여전히 많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민노총 전북본부의 논평
[㈜명신의 GM군산공장 부지 인수에 대한 입장]
대부분 자금 제2금융권에서 조달 ...이후 자금조달, 사업계획 여전히 불투명
먹튀는 이제 그만, 전라북도는 기업의 책임성 강제해야
오늘(28일)은 ㈜명신이 GM군산공장 부지인수 잔금을 납부했다. GM군산공장 매각 후 전기자동차 생산 등 여러 장밋빛 전망이 넘치지만 차분히 짚어봐야 할 점이 여전히 많다.
금융감독원 공시에 따르면, ㈜명신은 부지대금 마련을 위해 김천농업협동조합, 아이비케이저축은행, 모아저축은행 등 2금융권에서 920억 원의 여신을 제공받았다. 이들 채무는 MS오토텍이 보증했다. 또한 ㈜명신은 지난 24일, 신주를 61만 주 발행하는 유상증자를 통해 263억을 조달했다. 신주는 모두 MS오토텍이 취득했다. MS오토텍이 이번 한 주 사이에 인수한 채무와 주식은 총 1,183억 원으로 MS오토텍 자기자본의 100%를 초과한다. 부지대금을 산업은행으로부터 조달할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었지만, 공시자료 상으로는 이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없다.
㈜명신은 공장 부지대금의 81.4%를 제2금융권에 의존했는데 이런 무리한 자금 조달은 이들이 밝힌 향후 사업의 현실성에 우려를 낳는다. 통상 완성차 생산을 위한 라인 신설은 2,000~3,000억 원의 자금이 필요한데, ㈜명신은 훨씬 적은 규모인 1,200억 원을 추가 조달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1,200억 원도 현물출자 방식으로 투자자를 모집하겠다고 밝혔다. 자기자본 없이 레버리지에 의존하는 투자유치는 프로젝트 파이낸싱(PF)과 유사한 형태다. ㈜명신이 무리한 자금조달로 공장 신설을 추진하는 것은 또 다른 뒷배경 없이는 설명하기 어렵다.
㈜명신은 참여기업, 자금원 등의 질문에 대해 지금은 밝힐 수 없으니 기다려달라고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더 많은 억측과 의구심이 양산된다. 그간 ㈜명신과 현대기아자동차그룹이 맺어온 돈독한 관계는 그런 의구심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요소다. ㈜명신의 군산공장이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완성차대기업의 전기자동차 위탁생산 공장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위탁생산 · 불안정 일자리, 나쁜 일자리 확산은 전라북도 · 노동자에게 결코 긍정적일 수 없다. ㈜명신이 어떤 제품을 생산할지 윤곽도 드러나 있지 않은 상황인데도 각종 장밋빛 전망과 전북형 일자리, 상생형 일자리 등의 이야기가 넘친다. 김칫국부터 마시기보다는 보다 냉철하게 자동차 산업의 흐름을 파악하고 점검하는 것이 먼저다.
특히 전라북도는 그간의 보조금 지원, 세금감면 같은 기업지원정책이 군산조선소, GM군산공장 폐쇄를 막지 못했음을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 최근에도 위기의 징조가 전라북도 곳곳에서 감지된다. 2018년, 현대자동차는 전기차 전환으로 인한 수요 감소 등의 이유를 들어 전주공장에서 생산되던 엔진을 물량 감소시켰다. 그런데 곧바로 비슷한 엔진을 현대위아(1차 계열사)로 외주화 시켜서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전라북도에는 이런 자동차 업계 상황조차 제대로 파악되어 있지 않다. 앞으로도 완성차대기업들이 전기자동차 생산을 핑계 삼아 위탁생산, 불안정 일자리를 확대시킬 우려가 높다. 전라북도가 노동 · 산업 · 일자리 정책에 대한 확고한 관점을 갖고 대응하지 않는다면 회사의 경영 논리에 휘둘릴 것이다.
지자체, 중앙정부가 여러 권한을 쥐고 기업에게 사회적 책임을 강제하지 못한다면 새로 만들어지는 ‘상생형 일자리’의 상생은 대기업끼리의 상생이 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