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시민단체-정당, 한국원자력연구원 세슘유출 관련자 처벌 촉구

2020-01-23 19:52

add remove print link

대전시와 환경운동연합 등 사회단체민 정의당과 민중당 대전시당 등은 23일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세슘유출 사건과 관련한 관련자 처벌과 대 시민 사과 등을 촉구했다.

방사능 물질 함 유 토양의 유출 차단 방지시설이 설치된 한국원자력연구원 배수구 /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능 물질 함 유 토양의 유출 차단 방지시설이 설치된 한국원자력연구원 배수구 / 한국원자력연구원

대전시와 환경운동연합 등 사회단체민 정의당과 민중당 대전시당 등은 23일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세슘유출 사건과 관련한 관련자 처벌과 대 시민 사과 등을 촉구했다.

대전시는 23일 원자력연구원 내ㆍ외 세슘 유출사건 정보 늑장 알림에 대해 시와 연구원간 안전협약을 이행하지 않은 것이라며 연구원 원장의 대시민 사과 및 재방방치대책 발표를 요구했다.

원자력연구원이 세슘 유출에 대해 원안위에는 6일 보고한 반면에 대전시에는 확인일로부터 2주 후인 20일 오후 5시에 구두 보고한 조치는 기망해위에 해당된다고 볼 수밖에 없어 대단히 유감이라고 밝혔다.

시에서는 21일 원자력연구원에 철저한 원인규명 및 재발방지를 요구했고, 연구원 외부로 세슘 추가유출 막기 위한 배수구 등 차단 등 현재 상황에 대한 보도자료 배포 및 지역 주민 등 관계자에게 정보를 제공했다고 설명했다.

시는 앞으로 원자력안전위원회 및 연구원에 일일 상황보고 체계 구축과 연구원 주변 하천토양 자체조사, ‘20년 환경방사능측정조사 용역 조기 발주 및 원안위에 원자력안전협의회 긴급 개최를 요구할 방침이다.

또 원안위(사건조사팀)의 조사결과를 검토후 그 결과 투명하게 지역주민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김윤기 정의당 대전시당위원장은 23일 “신속히 사고의 원인과 책임자를 찾고, 제대로 처벌하라”면서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것은 국가의 첫 번째 사명”이라고 강조했다.

또 “대전시민의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는 상황에서도 누구도 책임지지 않고, 말뿐인 재발방지 약속만 하면 되었기 때문이며, 시민들이 밀집해 살고있는 대도시 한복판에 고준위핵폐기물을 포함한 핵폐기물들을 쌓아놓고도 제대로 감시받지 않기 때문”이라며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원자력연구원의 사고가 반복되는 것은 이를 관리 감독해야 할 책임이 있는 위원회가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책임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환경운동연합과 시민방사능감시센터는 "이 시설 주변의 하천 토양에서는 세슘137 핵종의 방사능 농도가 최고 138Bq/kg을 기록했다"면서 "이곳이 과연 대전인가 후쿠시마인가?"라고 추궁했다.

또 "원자력연구원의 사고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고, 방사능 누출 사고와 무단폐기 등이 전혀 개선되지 않고 반복되고 있다"면서 "원자력연구원의 방사능 안전관리 능력 부재를 보여준다. 더 큰 사고를 치기 전에 원자력연구원은 해체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중당 대전시당도 정부에 세슘 하천방류 사건 진상을 규명하고 책임자를 처벌할 것과 무책임한 원자력연구원의 연구를 즉각 중단 시키라고 요구했다.

home 육심무 기자 stor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