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청난 공포감 엄습… '영등포'에 난리가 났다
2020-01-28 10:14
add remove print link
상당수가 휴대전화조차 갖고 있지 않은 까닭에…
마땅한 대책 당장 마련도 어려운 상황으로 알려져
서울시에 따르면 2017년을 기준으로 서울에 거주하는 인구 중 외국인 주민은 4.2%인 41만3943명이다.
국적별로는 중국 동포(한국계 중국인)가 21만689명으로 과반수를 차지했다. 자치구별로는 영등포, 구로, 금천, 관악, 광진, 동대문, 동작에 외국인이 밀집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영등포(5만4145명), 구로(4만9996명), 금천(3만317명)이 대표적 밀집지다. 이들 3개구 외국인 주민은 대부분 중국 동포다.
문제는 중국인 상당수가 휴대전화를 갖고 있지 않은 까닭에 재난 문자를 보내기조차 쉽지 않다는 데 있다. 휴대전화가 있더라도 개인정보 이용 등 걸림돌이 있는 탓에 우한 폐렴 대책 마련이 쉽지 않다. 이 때문에 서울시는 당장은 뾰족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중국 경제매체인 디이차이징은 27일 중국 항공서비스 애플리케이션 ‘강반관자’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2월 30일~올해 1월 22일 우한에서 해외로 떠난 탑승객의 목적지는 태국이 2만558명으로 가장 많았고, 싱가포르 1만680명, 일본 9080명, 한국 6430명 순이었다. 우한 폐렴 사태 발생 후 이미 6000명이 넘는 사람이 우한에서 한국으로 건너온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