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들, 그러다 죽는다’ 배달의민족을 살벌하게 몰아붙이는 이재명
2020-04-07 12:10
add remove print link
'영세상인 착취하는 독점기업 말로는 어떻게 될까'
'국민이 기업 죽일 수도 있다는 걸 모르는 것 같다'
이 지사는 7일 ‘국민 무시에 영세상인 착취하는 독점기업 말로는 어떻게 될까요?’란 글을 페이스북에 올려 “단순 플랫폼 독점으로 통행세 받는 기업이 인프라 투자자이자 기술문화자산 소유자인 국민을 무시하고 성공할 수 있을까?”라고 물었다.
그는 “돈만 밝힌다고 돈을 벌 수는 없다. 성공한 기업들이 왜 사회공헌에 윤리경영을 하고, 어려운 시기에는 이용료 깎아주며 공생을 추구하는지 이해해야 한다”라면서 “(배달의민족은) 국민과 소비자는 기업을 살릴 수도 있지만, 죽일 수도 있다는 걸 모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최대한 빨리 공공앱을 개발하겠지만, 그 사이에라도 대책을 세워야겠다”라면서 “배달앱 아닌 전화로 주문하고, 점포는 전화주문에 인센티브를 주자는 운동이 시작됐다. 도민을 보호해야 하는 지사로서 적극 응원한다. 여러분께서 소비자와 국민이 무섭다는 걸 보여달라”고 했다.
이 지사는 배달의민족이 이달 1일부터 수수료 체계를 정액제에서 정률제로 바꿔 자영업자들의 원성이 쏟아지자 지난 4일 페이스북에서 “자영업자들을 나락으로 내몰고 있다”며 경기도 차원의 대책을 세우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리고 이틀 만인 지난 6일 공공배달 앱 개발 계획을 밝히자 배달의민족을 압박하고 나섰다. 그러자 배달의민족 측은 이날 성명문을 발표해 새 요금체계로 논란을 빚은 데 대해 사과하고 즉각적인 개선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지사는 배달의민족의 대응이 충분하지 않다고 했다. 그는 “(배달의민족이 발표한) 성명에 의하면 특정 업체의 과도한 깃발꽂기 부작용으로 인한 이용업체들의 불이익과 부담을 덜기 위한 선의의 조치였고 그로 인한 부작용을 반성하고 사과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반성과 사과에 따른 조치는 이용료체제 원상복구와 깃발 꽂기 제한이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원상복구에 대한 언급은 없이 또 다른 이용료체제 개편을 하겠다는 것인데, 이는 체제개편으로 인한 이익 증가(이용자의 부담 증가)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것으로서 사과의 진정성을 인정하기 어렵고 반발모면을 위한 임시조치라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라면서 “현대의 기업들은 수익창출능력만큼 높은 윤리경영과 사회적 기여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국민들은 촛불 하나로 국가권력을 교체할 정도로 높은 시민의식과 실천력을 갖추고 있다는 점 잊지 말기 바란다”고 경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