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이 남긴 유서가 매우 민감한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2020-07-10 14:23

add remove print link

'피해자'에 대한 언급 없어
서울특별시장 반대 여론도

극단적 선택을 한 박원순 서울시장이 '모든 분에게 죄송하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겼다. 서울시는 10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이렇게 밝혔다. 고한석 서울시장 비서실장은 이날 '어제 오전 박원순 시장께서 공관 나오시면서 유언장 작성했다'며 '공관 정리하던 주무관이 발견했고 유언장 공개는 유족 뜻에 따라야 하므로 오늘 오전 유족들과 유언장 공개 논의했다'고 말했다. 이어 '유족들 뜻에 따라 유언장 공개를 결정했다'면서 '지금 보여드리는 유언장이 어제 공관 서재 책상 위에 놓여있던 원본이다.  / 서울시 제공
극단적 선택을 한 박원순 서울시장이 "모든 분에게 죄송하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겼다. 서울시는 10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이렇게 밝혔다. 고한석 서울시장 비서실장은 이날 "어제 오전 박원순 시장께서 공관 나오시면서 유언장 작성했다"며 "공관 정리하던 주무관이 발견했고 유언장 공개는 유족 뜻에 따라야 하므로 오늘 오전 유족들과 유언장 공개 논의했다"고 말했다. 이어 "유족들 뜻에 따라 유언장 공개를 결정했다"면서 "지금 보여드리는 유언장이 어제 공관 서재 책상 위에 놓여있던 원본이다. / 서울시 제공
극단적인 선택으로 세상을 떠난 박원순 서울시장이 유서에서 성추행 의혹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아 논란이 일고 있다. 고인이 세상을 떠난 것은 안타깝지만 피해 여성의 심정을 전혀 헤아리지 않는 2차 가해를 했다는 지적마저 일고 있다.

고한석 서울시 비서실장은 10일 오전 11시 50분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유족들의 동의하에 유서를 공개했다.

박 시장이 자필로 쓴 메모지에는 "모든 분에게 죄송하다 내 삶에서 함께 해 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린다"고 적혀 있다.

박 시장은 "오직 고통밖에 주지 못한 가족에게 내내 미안하다"며 "화장해서 부모님 산소에 뿌려달라"고 말했다. 그는 "모두 안녕"이라는 말로 유서를 맺었다.

박 시장 전 여비서는 박 시장으로부터 수차례 성추행을 당했다면서 지난 8일 서울지방경찰청에 고소장을 접수한 바 있다. 박 시장이 극단적인 선택을 한 데는 전 여비서가 자신을 고소한 것이 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크다. 페미니스트를 자처한 그로서는 자신이 ‘가해자’인 성추행 사건이 불거져 수십년 쌓은 명예가 와르르 무너지는 상황을 마주하기 힘들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서울시가 제공한 박원순 서울시장의 유서의 사진과 박 시장 사진(뉴스1)을 합했습니다.
서울시가 제공한 박원순 서울시장의 유서의 사진과 박 시장 사진(뉴스1)을 합했습니다.
하지만 상당수 국민은 박 시장이 살아서 죗값을 치르는 게 옳았다고 보는 게 사실이다. 박 시장이 돌연 극단적인 선택을 함으로써 현재 정신병원 치료를 받고 있는 전 여비서는 자신이 당한 피해를 규명할 기회 자체를 상실했다.

"그는 지금…" 미투 폭로했던 박원순 '전 비서' 현재 상태가 알려졌다 미투 폭로한 박원순 서울시장 전 비서
위키트리 | 세상을 깨우는 재미진 목소리

“허망하게 갈 걸 뭐 할라고…” 고향 후배 박원순에게 홍준표가 쓴 장문의 글 10일 페이스북에 장문의 글 남긴 홍준표 의원
위키트리 | 세상을 깨우는 재미진 목소리

박 시장이 유서에서 현재로선 피해자일 가능성이 대단히 높은 전 여비서에게 사과하지 않은 데 대해서도 아쉬워하는 국민이 많다. 정작 사과해야 할 사람에게는 한마디도 남기지 않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는 게 사실이다.

박 시장이 불미스러운 사건에 연루돼 극단적인 선택을 한 까닭에 그의 장례를 서울특별시장으로 치르는 데 반대하는 여론도 있다. 10일 오전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박원순씨 장례를 5일장, 서울특별시장으로 하는 것 반대합니다’라는 제목의 청원이 올라와 오후 2시 10분 현재 6만4000명이 넘는 사람의 동의를 얻었다.

여당 일각에서도 성추행 의혹을 해소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고위 공직자 누구라도 개인의 도덕적인 문제는 굉장히 중요하다"며 사실 관계를 파악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으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면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 전화하면 24시간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 제공
home 채석원 기자 jdtimes@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