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으로 매일 1% 수익만 올리려고요' 단타꾼에게 전문가가 거품 문 이유
2021-04-05 14:05
add remove print link
마감직전 매수해 익일 장 개시 때 매도 '종가매매단타'
“여차하면 골로가는 게임”…“하루 1% 수익도 허황돼”
시간이 자유로운 가정 주부들은 주식장의 흐름을 꾸준히 지켜볼 수 있는 장점을 활용해 단타에 도전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주식예능 카카오TV '개미는오늘도뚠뚠3'에도 한 주부 단타꾼이 출연해 자신의 주식 경험담을 들려줬다.
'소박하게' 하루 1% 수익만을 목표로 주식투자를 하고 있다는 이 주부에게, 전문가들은 위험천만하다며 절대 따라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왜 그러는 것일까.



코로나 직격탄을 맞고 백수생활을 시작했다는 주부 배한나 씨는 지난해 9월부터 주식판에 뛰어들었다. 주식 문외한이었던 배 씨는 주위에서 권유한 종가매매단타를 시작했다.
종가매매단타란 동시호가, 시간외 단일가 매매로(종가로) 사서, 다음날 오전 9시 장 시작하자마자 바로 팔아치우는 방식이다.
동시호가매매란 오후 3시 반, 장 마감 직전 10분동안 매매하는 것이다(장 시작전 동시호가매매도 있다). 오후 3시20분~3시30분에 매매 거래 시 시간 선후를 가리는 것이 쉽지 않은데, 이때 접수된 건들을 한꺼번에 모아 적절한 가격에 동시 체결한다.
시간외 단일가 매매란 장 마감 이후 두 시간동안(오후 4~6시) 이뤄지며, 10분 단위로 거래가 체결된다. 즉 총 12번의 거래가 발생할 수 있다.
종가매매단타는 통상 주식시장은 오전에 상승이 많고 오후에는 하락하기에 전날 상승탄력이 예상되는 종목을 매수해 다음날 오전에 상승탄력이 붙을 때 매도한다는 논리에 바탕을 두고 있다.
배 씨는 "하루에 한번 3시20분쯤에 두 종목을 골라 종가베팅을 한다"며 "다음날 아침 9시에 장이 시작될 때 바로 매도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간외 단일가 매매가 가능할 때도 1% 이상 오르면 바로바로 매도한다"며 "그렇게 단타를 하다 보니 현재 보유 종목이 없다"고 했다.
이 같은 매매법은 추세적으로 상승 중인 종목에서는 성공 확률이 높다. 배 씨도 종가매매단타로 한동안 재미를 봤다. 내일 더 오를 것이라는 확신이 있는 상황이라면 종가에 사서 장 시작하자마자 팔면 된다.
하지만 장이 언제까지 좋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여차 하면 골로가는 게임이라고 참석한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이에 대해 배 씨는 "목표가 거창하지 않다. 시드머니가 700만원인데 하루에 딱 1%만 벌자는 생각이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배 씨의 목표가 절대 소박한 것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한 전문가는 "어떤 사람이 저한테 하루 1% 수익률을 보장한다면 내 전 재산을 올인한다"고 장담했다.
매일 1%면 한 달에 20% 이상일 텐데 복리로 따지면 수익이 엄청나다는 것.
흔히 투자를 말할 때 ‘복리의 마법과 72의 법칙’이 거론된다. 72의 법칙이란 복리의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자산을 두배 늘리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는 방식을 뜻한다.
원금이 두 배가 되는 시간을 알기 위해선 72를 수익률로 나누면 된다. 매일 1%의 수익률을 낸다면 원금이 두배가 되는 시간은 72일이다. 하루에 1%씩 72일만 반복하면 원금은 두배가 되는 것이다.
결국 배 씨가 말한 '하루에 소소하게 1%씩'은 주식시장에서 어마어마한 눈덩이였던 것이다.
이 전문가는 "1월 말부터 코스피는 상승세가 꺾인 상태로, 종가 매매법으로는 계속 물려 들어갈 가능성이 많다"고 우려했다. 실제 배 씨는 올해 1월부터 수익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섰다고 고백했다.

심지어 운용자금을 늘려서 규모 있는 돈으로 종가를 계속 만들다 보면 금융당국의 조사를 받을 수도 있다. 주가조작의 3대 수법 중 하나인 마감 동시호가 때 종가를 끌어올리는 방식으로 오해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인터넷에 떠도는 수많은 투자법들에 현혹되지 말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
[한국갤럽] '이재명 vs 김문수 양자대결' '이재명 vs 이준석 양자대결' 결과는...
-
‘당선 가능성’ 이재명 67%, 김문수 22%…현재 후보 계속 지지 80% [YTN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