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보는 ‘오징어 게임’ 시즌2 · 3 : 땅따먹기
2022-02-24 17:03
add remove print link
자신의 영역을 가장 많이 넓힌 사람이 승리하는 게임
K-컬처 소개 도서 '랜드 오브 스퀴드 게임' 내 수록
['오겜'의 나라 한국, 한국인, 한국 문화]
<30> 땅따먹기

땅따먹기에서는 참가자들이 땅 위에 지름 1~2m의 원을 그려서 놀이 공간을 만든다. (바닥의 직사각형일 수도 있고 실내의 경우 큰 종잇조각일 수도 있다.) 각 참가자는 먼저 막대기로 엄지손가락부터 새끼손가락 끝까지 정도의 너비인 반원을 그려서 자신만의 ‘집’을 만든다. 가위바위보를 통해 순서를 정하고, 작고 평평한 돌을 손가락으로 세 번 튕기는데, 처음에는 집에서 나오고, 그다음에는 집과 멀어졌다가, 그러고 나서 집으로 돌아온다. 참가자가 자신의 집으로 돌을 가져오는 데 성공했다면, 참가자는 돌이 지나간 부분의 땅을 얻게 된다. 영역을 가장 많이 넓힌 사람이 승리한다. 땅따먹기는 농경사회에서 많은 땅을 차지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소망을 나타내며, 놀이를 위해 도구가 거의 필요 없기 때문에 인기가 있었다. 하지만 놀이를 위해 모래나 흙바닥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재는 인기가 없다.
Eat The Ground
In Eat the Ground (땅따먹기 ‒ pronounced ttang-tta-meok-gi), players create a playing area by drawing a circle of 1 or 2 meters in diameter on the ground (or it could be a rectangle drawn on the ground or even a large piece of paper if playing indoors). Each player first creates their own ‘house’ by drawing with a stick a half-circle that's roughly the width of their hand-span (from the tip of their thumb to the tip of their little finger). Players play rock-paper-scissors to see who goes first, and then they take turns flicking a small, flat stone with their finger. The players flick the stone three times, first away from their house, then parallel to their house, and then back to their house. If the player is able to flick their stone back to their house, then the player gets the area outlined by the path of the stone. The player who is able to extend his territory the most wins. This game reflected people's hope for owning agricultural land and was quite popular as it required minimum tools to play. However, it's disappearing as this requires sand to play.
*본 내용은 민병철 교수의 책 '랜드 오브 스퀴드 게임'이 원작으로, 서점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