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정부 '조선총독관저' 복원 추진… 예사롭지 않은 논란이 일고 있다
2022-07-22 09:48
add remove print link
YS가 일제잔재 청산한다면서 철거한 그 건물
청와대 활용 방안에 조선총독관저 복원 담겨
조선총독관저는 청와대 옛 본관이다. 김영삼 전 대통령이 재임 때인 1993년 일제 식민정치의 흔적을 지우기 위해 옛 조선총독부 건물과 함께 철거한 건물이다. 조선총독부는 일본 제국이 일제강점기 때 조선 경성부에 설치한 통치 기관이다.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21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업무보고를 하는 자리에서 조선총독관저 복원이 포함돼 있는 청와대 활용 방안 5대 핵심과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업무보고에서 청와대 옛 본관인 조선총독관저를 복원하려는 이유에 대해 “(옛 청와대 본관인) 정부 수립부터 6·25, 산업화, 민주화의 고뇌와 함께한 대통령 문화의 흔적”이라고 했다.
박 장관은 “해방 후 3년간 미군 사령관 관저로 쓰였다가 1948년 이승만 초대 대통령의 경무대(집무실+관저)로 사용되며 우리 역사에 편입됐다”면서 이 전 대통령과 윤보선·박정희·최규하·전두환 전 대통령을 거쳐 노태우 전 대통령 전반기까지 사용한 건물이 청와대 옛 본관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본관과 관저, 옛 본관 터를 대통령의 리더십과 삶을 실감할 수 있는 상징 공간으로 꾸미겠다고 했다. 이를 위해 역대 대통령의 자녀와 친인척, 대통령학 전문가 등으로 자문위원을 구성하겠다고도 했다.

아울러 영빈관은 미술품 특별 기획전시장으로 구성해 청와대 소장품 기획전,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컬렉션, 국내외 유명 작가 등의 작품을 유치하고 녹지원 등 야외 공간은 조각공원으로, 춘추관은 시민소통공간으로 조성하겠다고 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강하게 반발한다. 전재수 민주당 의원이 이날 페이스북에 “이해가 되지 않는다. 누가 무슨 생각으로 복원을 추진하는지 대정부 질문을 통해 확인해봐야겠다”라면서 반대 뜻을 밝혔다.
전 의원은 "청와대 구 본관은 조선총독관저로 건립된 건물이다. 청와대 구 본관은 1993년 민족정기를 바로 잡고 국민들의 자긍심을 되살리기 위해 철거됐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