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클리 리포트 89호] 내 연애운은?… 유튜브로 보는 공짜 타로 점, 이렇게 해보세요

1970-01-01 09:00

add remove print link

최근 2030세대 사이서 인기를 모으는 타로 유튜브 콘텐츠
Love(연애), Wellness(건강), Fortune(운세) 세 가지 주제로

유튜브가 만든 타로 서비스

유튜브가 직접 타로를 볼 수 있는 반응형 웹사이트를 공개해 화제다.(유튜브 타로 사이트)

타로는 최근 2030세대 사이에서 인기를 모으는 유튜브 콘텐츠 중 하나다. 시청자가 평소 가지고 있는 고민거리에 대해 생각하면서 카드를 고르면 유튜버가 이를 해석해주는 식이다. 시청자들은 타로점을 보면서 불안감 해소와 함께 위로와 힐링을 얻는다. 또 유튜브에서 접하는 타로 콘텐츠는 비대면으로 간단히 진행되기 때문에 실제 타로점에 비해 진입장벽이 다소 낮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유튜브 타로 사이트 캡처
이하 유튜브 타로 사이트 캡처

유튜브의 타로 사이트는 현재 유튜브에서 빠르게 성장 중인 타로 카테고리를 응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사이트에 접속하면, 세 명의 타로 점술가에게 Love(연애), Wellness(건강), Fortune(운세)이라는 세 가지의 주제로 점을 볼 수 있다. 각 주제를 담당하고 있는 점술사는 모두 타로 콘텐츠를 제작하는 유튜브 크리에이터다.

최근 건강 관련해 걱정이 많은 에디터도 Wellness를 주제로 타로점을 봤다. 카드를 직접 섞은 후 하나를 고르니 점술사가 해당 카드에 대한 풀이를 자세히 들려줬다. 이후에는 나의 생년월일을 반영한 나만의 소울 카드가 무엇인지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 페이지로 넘어가면 내가 선택한 카드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또 내 타로카드 풀이를 들려준 크리에이터의 유튜브 채널도 안내된다. 유튜브의 타로 사이트는 영어 외 다른 언어가 지원되지 않지만, 페이지 전체 번역을 통해 어느 정도 맥락을 이해할 수 있으니 독자 여러분도 한 번쯤 심심풀이로 타로점 보는 것을 추천한다.

유튜브 로고, 유튜브 타로 사이트 캡처
유튜브 로고, 유튜브 타로 사이트 캡처

초개인화 시대, 이커머스의 전략은?

2022년, 개인은 이전보다 더 세분화되고 있다.

Shutterstock
Shutterstock

트렌드 코리아 2022 키워드 중 하나인 ‘나노사회(Transition into a Nano Sciety)’는 마치 나노 단위로 쪼개지듯 개인주의가 극도로 심화될 것이라는 예측을 나타낸 단어다. 소비자의 취향과 관심사 역시 개인마다 천차만별로 달라지고 있다.

소비자의 기호를 발 빠르게 파악해야 하는 커머스업계도 이 흐름에 맞춰 변화했다.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이 대표적인 사례다. 버티컬 커머스는 여러 상품을 취급하는 일반적인 종합 쇼핑몰과 달리, 한 가지 카테고리에 특화된 상품군만 판매하는 이커머스 플랫폼을 뜻한다. 버티컬 커머스는 세분화된 소비자의 니즈를 전부 반영하기 힘든 종합몰의 한계를 계기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왼쪽에서 시계 방향으로) 오늘의집, 집꾸미기, 에이블리, 번개장터, 당근마켓, 지그재그 로고
(왼쪽에서 시계 방향으로) 오늘의집, 집꾸미기, 에이블리, 번개장터, 당근마켓, 지그재그 로고

버티컬 커머스는 우리의 삶 전반 깊숙이 자리 잡았다. 이미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인테리어 플랫폼 ‘오늘의집’과 ‘집꾸미기’, 여성 의류만을 취급하는 ‘에이블리’와 ‘지그재그’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사용자 간의 중고 거래를 지원하는 ‘당근마켓’과 ‘번개장터’도 버티컬 플랫폼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버티컬 커머스가 인기를 끌자 더욱 세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플랫폼도 나타났다. 이사를 돕는 앱 ‘짐싸’와 세탁물 맡김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 ‘세탁특공대’ 등을 예시로 들 수 있겠다.

무신사, 오늘의집 로고
무신사, 오늘의집 로고

그러나 이를 통해 오히려 버티컬 플랫폼 간 경쟁이 치열해지자, 기존의 플랫폼들이 버티컬의 정체성을 버리고 판매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무신사는 지난 2020년, 무신사 뷰티를 선보이면서 화장품 분야로 카테고리를 확대했고, 올해 4월에는 건강기능식품 판매업을 사업 목적에 추가하기도 했다. 올해 하반기에는 가구 브랜드 ‘콜렉티프’의 론칭을 준비 중이다.

오늘의집 운영사 버킷플레이스는 오늘의집을 공간과 생활 전반을 아우르는 ‘라이프스타일 슈퍼 앱’으로 도약시키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생활 집수리 서비스, 이사 서비스 등을 론칭하기도 했다.

특화된 카테고리를 내세웠지만 격화된 시장 경쟁으로 인해 외연 확장에 나선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 이들이 향후 선보일 방향성에 귀추가 주목된다.

네이버 인물 정보, 이렇게 바뀝니다

이하 네이버 검색 공식 블로그
이하 네이버 검색 공식 블로그

네이버가 가수의 인물 정보 검색 결과에 변화를 준다. 스타의 다양한 활동, 시시각각 업데이트되는 SNS 소식 등 변동성이 심한 정보를 빠르게 제공할 예정이다.(네이버 검색 공식 블로그)

스타의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VIBE 서비스 기준 인기 스코어 상위에 위치하는 가수 중 최근 3년 내 발매곡이 존재하고 좋아요 수가 3천 개 이상이거나 최근 1년 내 VIBE TOP 100 또는 빌보드 HOT 100 차트 상위권에 진입한 경우다. 직업이 가수가 아니거나 사회적 이슈 또는 어뷰징 행위와 연관된 아티스트는 제외된다. 기준을 충족하지 않더라도 본인 또는 대리인의 요청이 있는 경우 화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후 추가될 수 있다.

대상으로 선정된 스타의 인물 정보는 어떻게 변경될까? 스타의 생일, 기념일, 앨범 발매 등의 이슈는 검색 화면 최상단 영역에 공지된다. 스타의 SNS 계정 소식 역시 최신 글 위주로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제공된다. 그뿐만 아니라 당일 기준 스타가 수행할 스케줄 정보도 시간순으로 받아볼 수 있다.

또 내가 좋아하는 스타와 스타일이 비슷한 아티스트도 검색 결과에 나타난다. 이 밖에도 스타와 관련된 플레이리스트 및 뮤직비디오, 음원 사이트 등 풍부한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네이버의 이번 업데이트에서 특히 스타의 SNS 최근 소식, 진행 중인 스케줄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 눈에 띈다. 네이버 이용자들이 이전보다 편리하게 ‘덕질’할 수 있도록 지원하려는 목적인 것으로 보인다.

home 허주영 기자 stor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