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후 지하철에서 잇따라 목격되고 있다는 '슬픈 풍경'
2022-11-03 16:24
add remove print link
뭔가 극적으로 바뀌고 있는 지하철 풍경
이태원 참사가 국민에게 남긴 '트라우마'

트위터 이용자 A씨는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이틀 뒤인 지난달 31일 트위터에 “헐 나 소름 끼쳤어, 건대입구역 환승 구간 계단은 퇴근 시간에 내리는 사람, 타는 사람 뒤엉켜서 ‘헬’인데 오늘은 사람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서서 기다리면서 올라가는 거야. 내려오는 통로도 남겨두고… 그래서 직원이 교통정리한 건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어. 그냥 모두가 약속한 것처럼 질서를 지키고 있더라”란 글을 올렸다.
이 글을 읽은 트위터 이용자는 "시민의 이태원 참사 트라우마가 현상으로 나타난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들 참사 현장을 떠올리며 걸었을 그 무거운 발걸음들…. 질서를 지키는 건 좋은 일이지만 한편 마음이 아프다"라고 말했다.

트위터 이용자 B씨는 1일 “정말 미는 사람이 사라졌다. 9호선 출근 시간에 사람들이 밀어서 휘청대는 순간이 많았는데 없어졌다. 어떤 마음으로 지하철 탑승을 하고 있을지 알 것 같아서 슬프다. 우리는 또 어떤 하루하루를 살게 될까”란 트윗을 올렸다.

트위터 이용자 C씨는 같은 날 트위터에 “기분 탓인지 모르겠지만 복잡한 환승역에서 사람들이 타고 내릴 때 덜 미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서로 덜 밀어도 타고 내릴 수 있는 거였구나. 살짝 눈물이 났다”란 글을 올렸다. 
트위터 이용자 D씨는 1일 "지하철 타는데 오늘 누가 계속 뒤에서 미는 거야. 그래서 '밀지 마세요!' 하니까 진짜로 동시에 주위 사람들 다 멈췄어"라는 트윗을 올렸다.
이 트윗을 읽은 트위터 이용자 E씨는 "시민의식이 성장한 게 아니고 사람들 마음에 지울 수 없는 멍이 생겨서 그런 거잖아. 또 한국인들에게 집단적 트라우마가 생긴 거잖아. 그게 너무 슬퍼. 세월호 참사 후 얼마 뒤 지하철이 멈추는 사고가 있었는데 그때 '움직이지 마라'라고 안내방송 나오니까 사람들이 지하철 문을 열고 나간 적이 있어"란 글을 올렸다.
트위터 이용자들이 올린 게시물들을 소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