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위 수면 잠옷, 2위 커튼 달기...'난방비' 폭탄 줄이기 위한 노력 1위는

2023-03-04 17:38

add remove print link

무섭게 치솟은 난방비 및 전기요금
난방비 인상 부담 덜기 위한 노력 순위

올해 난방비 인상 여파가 한파만큼이나 매섭다.

난방비 인상 관련 인식 조사 결과가 눈길을 끌고 있다.

서울 시내 한 건물에 가스계량기가 설치되어 있다. / 이하 뉴스1
서울 시내 한 건물에 가스계량기가 설치되어 있다. / 이하 뉴스1
기사와 무관한 자료 사진. 한파 만큼이나 매서운 난방비 인상
기사와 무관한 자료 사진. 한파 만큼이나 매서운 난방비 인상

시장조사 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9~59세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한 ‘난방비·전기 요금 인상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했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중 65.1%는 올해 난방비 인상을 체감한다고 응답했다. 또 지난 1월 기준 월평균 난방비 10~15만 원 납부한다는 응답은 22.6%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난방비 인상 부담을 덜기 위해 기울이고 있는 다양한 방법 순위도 알려졌다.

응답자 중 62.5%는 난방비 인상 부담을 덜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찾고 있다고 밝힌 가운데, ‘내복·양말 등 이너웨어 착용하기’(52.3%·중복응답)가 1위로 꼽혔다.

이어 ‘커튼·블라인드·암막 등 설치하기’ 48.9%, ‘수면 잠옷 구매·착용하기’ 46.3%, ‘창문 단열재 부착’ 41.6%, ‘바닥 카펫·러그 깔기’ 36.7% 순이었다.

해당 기사와 무관한 자료 사진. 선반에 놓인 수면 양말
해당 기사와 무관한 자료 사진. 선반에 놓인 수면 양말
해당 기사와 무관한 자료 사진. 겨울 용품을 둘러보는 손님
해당 기사와 무관한 자료 사진. 겨울 용품을 둘러보는 손님

한편, ‘난방비 절약법’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는 영상도 눈길을 끌고 있다.

지난해 유튜브 채널 ‘1분 미만’에 ‘이거 더 이상 속지 마세요 (왼쪽이 온수 나오는 집은 무조건 보셔야 됩니다…)’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영상에서 유튜버는 “수도꼭지를 온수 쪽으로 돌려놓는 것 자체로는 절대 보일러가 돌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 근거로 보일러 작동 원리에 대해서 전했다.

유튜버는 “보일러 안쪽에 센서가 있다. 센서는 방향이 아닌, 물을 실제로 틀었을 때 보일러 안에서 압력 차가 생기는데 이걸 인식하는 센서다. 급수의 압력 차이로 보일러가 동작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수도가 고장 나서 살짝 누수가 되는 게 아니라면 단순히 (수도꼭지를) 온수 쪽으로 돌려놓는다고 해서 가스비가 더 나올 일은 없다”고 강조했다.

home 김희은 기자 1127khe@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