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인천 공기 질, 불명예스러운 전세계 2위를 기록했다
2023-03-21 12:10
add remove print link
AQI지수 169, WHO 가이드라인 3~5배 초과 수준
계속되는 고농도 미세먼지로 비상저감조치 시행
한국이 불명예스러운 2위를 기록했다. 인천시가 세계에서 대기오염도가 두 번째로 좋지 않은 도시라는 기록을 세웠다.

AQI는 현재 공기가 얼마만큼 오염됐고 앞으로 오염 정도가 어떻게 될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공기 중 초미세먼지와 미세먼지, 일산화탄소,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지상 오존 등 6가지 대기 오염 물질을 측정해 수치로 나타낸다. AQI는 0~500 범위로 나타내며 숫자가 높을수록 오염이 심각하다는 뜻이다. AQI가 0~50 사이일 경우 공기가 좋다는 뜻이고 300 이상은 '위험' 단계로 실외활동을 자제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처럼 인천의 대기오염도가 심각한 건 초미세먼지 때문이다. 초미세먼지란 먼지 입자 지름이 2.5㎛(마이크로미터) 이하인 먼지다. 코,구강, 기관지에서 걸러지지 않아 몸속 깊이 축적돼 심혈관계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최근 초미세먼지가 한반도를 엄습했다. 정부는 전날 초미세먼지 위기 경보 ‘관심’ 단계를 발령하며 비상저감조치까지 시행했다. 비상저감조치란 수도권 내 고농도 미세먼지가 일정 기간 지속될 경우 시민건강을 위해 자동차, 공장, 공사장의 대기오염 물질을 줄이는 조치다.
초미세먼지 위기 경보는 관심-주의-경계-심각 4단계로 이뤄져 있다. 관심 단계는 ▲당일 오전 0시~오후 4시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가 50㎍(마이크로그램)/㎥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될 경우 ▲당일 오전 0시∼오후 4시 해당 시도 권역에 주의보·경보가 발령될 경우 및 다음날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가 50㎍/㎥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될 경우 ▲다음날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가 75㎍/㎥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될 경우 중 하나만 충족해도 발령된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올해 봄철 첫 고농도 미세먼지 위기 경보가 발령됨에 따라 정부는 미세먼지로부터 국민 건강을 지키기 위해 비상저감조치를 철저히 이행할 계획"이라며 "국민들도 고농도 미세먼지 국민 참여 행동 요령에 따라 개인 건강관리에 더욱 신경을 써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IQAir가 발표한 지난해 한국의 대기질 순위는 56위다. 2019년 24.8이었던 한국의 대기질 지수는 2020년 19.2, 2021년 19.1, 지난해 18.3으로 계속 낮아지고 있다. 이 같은 수치는 WHO 가이드라인을 3~5배 초과한 것이다.
세계 최대 공업국인 중국에서 배출하는 오염물질이 한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은 중국에서 불어오는 편서풍의 영향을 받는다. 중국에서 거리가 멀수록 초미세먼지 피해 일수가 덜한 경향이 통계로 밝혀진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