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판 흥부전… 담배 피우러 나왔다가 우연히 특이한 '새' 발견한 남성

2023-03-24 11:04

add remove print link

디시인사이드 조류 갤러리에 올라온 글
'인디언 추장새'라고도 불리는 여름 철새 후투티

한 네티즌이 우연히 날개 골절을 입은 새를 발견하고 구조에 나섰다.

A 씨가 발견한 후투티 / 이하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 조류갤러리
A 씨가 발견한 후투티 / 이하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 조류갤러리

지난 22일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 조류 갤러리에는 '담배 피우러 밖에 나왔다 새 주움'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을 쓴 A 씨는 "부상당한 후투티. 소독하고 집을 만들어서 지렁이 50여 마리랑 종이컵에 물을 부어서 넣어줬는데 살는지 모르겠다"며 "고양이한테 물려서 한쪽 날개가 완전 골절됐다. 이런 새가 있다는 걸 처음 알았다. 어디에 신고해야 하는지 아는 사람 있냐"고 도움을 요청했다.

다친 후투티를 발견하고 도움을 요청한 A 씨
다친 후투티를 발견하고 도움을 요청한 A 씨

다음날 A 씨는 다시 글을 게재하며 후투티의 구조 후기 글을 남겼다.

A 씨는 "사진 찍고 뭐 할 틈도 없었다. 일단 우리 동네 자체가 너무 시골이라 아직도 하천에 오리들이 넘친다. 매도 자주 출몰하고 고라니도 하루에 두세 번씩은 볼 수 있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A 씨가 남긴 후투티 구조 후기
A 씨가 남긴 후투티 구조 후기
A 씨가 올린 구조당시 사진
A 씨가 올린 구조당시 사진
A 씨의 구조로 회복하고 있는 후투티
A 씨의 구조로 회복하고 있는 후투티

이어 "일단 구조센터에서 연세 지긋하신 분이 오셨다. 후투티는 여름 철새인데 웬일로 일찍 왔는지 모르겠다고 하시더라. 일단 새가 아주 잘 뛰어다니고, 날개가 부러졌는데도 파닥파닥 잘 다녀서 예후가 좋을 거 같다고 하셨다. 운 좋으면 뼈가 붙을 가능성도 있다고 하셨고 날 수 있을지는 수의사가 봐야 알 거 같다고 한다"며 "일단 크게 다쳤지만 12시간 넘게 잘 버텨줬고 1시간 간격으로 페트병에 뜨거운 물 받아서 수건으로 감싸 갈아줬다. 다음에 야생동물 구조관리센터로 문의하면 경과가 어떤지도 알 수 있다고 한다. 정말 흔치 않은 새라 감사하다고 하셨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제 나도 꿀잠을 잘 수 있을 거 같다. 보낼 때 기진맥진하면 어쩌나 했는데 완전 팔팔하게 갔다"며 "나중에 날 수 있게 돼서 야생으로 돌아간다면 박씨 하나 가져다줘라. 잘 살아서 꼭 야생으로 가길!"이라고 마무리했다.

사연을 접한 네티즌들은 "문의하면 경과도 알려주는구나. 멋진 일 했다 후투티도 잘 버텨줘서 정말 다행이고", "상처 심해 보여서 걱정했는데 팔팔하다니 다행이네! 복 받아라!!", "눈에 생기가 있어서 다행이다. 꼭 왕박씨 받아라" 등 반응을 남겼다.

후투티 자료 사진 / 이하 뉴스1
후투티 자료 사진 / 이하 뉴스1
후투티 자료 사진
후투티 자료 사진

후투티는 머리와 깃털이 인디언의 장식처럼 펼쳐져 있어 '인디언 추장새'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뽕나무밭 주변에 주로 서식하기 때문에 '오디새'라고도 불린다. 주로 땅강아지나 애벌레를 긴 부리로 땅을 헤집어 잡아먹는다.

후투티는 과거 국내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여름 철새였지만 점차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겨울에도 종종 발견된다. 일각에서는 이제 철새가 아니라 텃새로 봐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조류 전문가 윤무부 박사 / 연합뉴스
조류 전문가 윤무부 박사 / 연합뉴스

후투티는 조류 전문가로 유명한 윤무부 교수가 가장 좋아하는 새이기도 하다. 2010년 레이디경향 인터뷰에 따르면 윤 교수는 어릴 적 우연히 정체 모를 새를 발견했는데 그 모습에 매료돼 "평생을 새와 함께해야겠다"고 다짐했다. 그 새의 주인공이 바로 후투티다.

윤 교수는 "새들은 국경도 없고 이념도 없고 어디든 훨훨 날아다닐 수 있지 않냐. 저는 생이 끝나면 후투티로 살고 싶다"는 말을 전하기도 했다.

후투티 자료 사진 / 뉴스1
후투티 자료 사진 / 뉴스1
home 오영준 기자 stor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