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중산층이란?... “30억 재산은 돼야” 했더니 논란 터졌다
2023-05-03 16:06
add remove print link
“일 안 해도 재산이 그대로면 중산층”
한국 중산층 기준 네티즌 열띤 논란
지난 5월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우리나라 중산층의 기준을 둘러싸고 네티즌들간 열띤 논란이 벌어졌다.
논란의 단초가 된 건 한 네티즌이 '요즘 금수저 논란을 대체하는 논란'이란 제목으로 중산층과 관련한 게시물을 올리면서다.
그는 게시물에 여러 근거자료를 붙였지만 정작 눈길을 끈 건 그가 밑에 첨가해 써 놓은 글이었다.
그는 "부자와 중산층, 서민의 재산 기준을 이만큼 명확히 내린 건 본 적이 없다"며 다음과 같은 출처 미상의 기준을 인용해 제시했다.

논란은 여기서 출발했다.
한 네티즌이 댓글에서 재산이 안 줄고 버틸 수 있는 중산층이 되려면 "대충 30억쯤 돼야 한다"고
금액을 제시하자 네티즌들간 갑론을박이 벌어진 것.
네티즌들은 댓글에서 "30억이라고요? 돈 개념이 있는 건지?" "와, 진짜 숨이 턱턱 막히네. 30억이 중산층이요??" "중산층 개념이 왜곡된 듯" "로또 맞아도 중산층이 안 된다는 겁니까?" "일 안 해도 자산이 그대로 유지되려면 노동자가 아닌 자본가여야 되는 건데, 중산층 기준이 자본가다?"라는 반박 글이 쏟아졌다.

한 증권사가 낸 2022년도 분석 결과를 제시하며 "지난해 우리나라 순자산 상위 1%는 29억 2000만원에서 출발하며, 부채를 뺀 평균 순자산액은 46억원"이라고 반박한 네티즌도 있었다.
반면 일부 공감이 간다는 측도 몇몇 눈에 띄었다.
"일 안 해도 재산이 안 줄어들려면 자산 30억은 가져야 한다는 게 맞을 듯...다만 그게 중산층인지는 모르겠지만" "강남권에서 말하는 중산층을 두고 하는 말인 것 같다" 등의 반응이었다.
이런 가운데 중산층 기준을 재산이 아닌 다른 잣대로 바라보자는 댓글이 올라와 주목을 받기도 했다.
한 네티즌은 재산뿐 아니라 문화와 소양, 정신 수준 등 비경제적 기준이 함께 고려돼야 한다는 취지로 미국과 영국, 프랑스의 사례를 공유했다.

한편 통계청이 경제정책의 활용 자료로 삼고 있는 한국의 중산층 2023년도 기준은 다음과 같다.
4인 기준 가구당 월 소득은 686만원 (상위 24%), 소비 지출은 월 427만원(상위 9.4%), 순자산 9.4억원 (상위 11%), 부동산 8.4억원(수도권 중형 APT)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