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발 메뉴판 한국어로 쓰는 법 만들었으면 좋겠어요” 엄청난 공감 쏟아진 글
2023-05-21 16:12
add remove print link
최근 부쩍 늘고 있는 식당·카페들의 영어 메뉴판 사용
“무슨 음식에 뭐가 들어갔는지는 한글로 써야 하지 않냐”
영어 메뉴판에 대한 비판 글이 네티즌들의 엄청난 공감을 얻고 있다.
지난 5월 온라인 커뮤니티 '네이트판'에 '메뉴판 한국어로 쓰는 법 좀 만들었으면 좋겠어요' 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쓴이는 한국어 없이 오직 영어로만 메뉴가 소개된 메뉴판 사진들을 올리며 이에 대한 불만을 제기했다.



그는 "다 한국 식당이다. 무슨 음식에 뭐가 들어갔는지 정도는 한글로 써야 하는 거 아니냐. 2030만 사는 세상도 아니고 나이 드신 분들이나 어린아이들은 뭐 주문이나 할 수 있겠냐"라며 황당해 했다.
그러면서 "영어로 써 놓고 진짜 외국인이 와서 영어로 주문하면 못 알아듣더라. 또 '1인 1음료'이나 '영업시간' 이런 건 기가 막히게 한글로 써 놓던데 웃기지도 않는다. 나라에서 한국 메뉴판에 대한 법 좀 만들어줘라"라고 말했다.
글쓴이가 첨부한 사진들 속 메뉴판은 모두 한국 식당·카페의 메뉴판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메뉴판에는 한국어가 없고 영어로만 기재돼 있다.

실제로 메뉴판에 한글 표기가 없으면 불법이다. 이를 위반한 사람에게는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옥외광고물법에 따르면 광고물의 문자는 원칙적으로 한글 맞춤법이나 국어의 로마자표기법 및 외래어표기법 등에 맞춰 한글로 표시해야 한다. 외국어로 표시할 경우에는 한글과 반드시 같이 적어야 한다.
이에 네티즌 A씨는 "마트 지역 농산물 파는 매대에 '로컬푸드'라고 표기한 것부터 좀 바뀌었으면 좋겠다. 로컬푸드가 뭐냐. 엄청 촌스럽다. 지역 상품이나 지역 농산물이라고 하면 바로 알 수 있고 친근하고 얼마나 좋냐"라며 고개를 끄덕였다.
또 네티즌 B씨는 "저는 간판 메뉴부터 가격표도 영어인 곳을 본 적 있다. 본인들이 영어가 편한가 싶어서 영어로 주문해 봤는데 주문받는 사람이 우물쭈물해서 다시 한국말로 말했다. '영어도 못 하면서 왜 다 영어로 써 놓은 거냐' 라고 웃으면서 주문했는데 영수증에는 한글로 메뉴가 써 있더라"라고 말했다.
네티즌 C씨도 "정말 왜 저러는지 이해를 못 하겠다. 우리말이 훨씬 예쁘고 바로 주문하는 시간도 줄일 수 있는데 정말 글쓴이 말대로 법이라도 만들면 좋겠다. 핑크보다 분홍, 블루보다 파랑 등 우리말이 훨씬 예쁜데 티브이 자막부터 전부 영어로 표기하는 것도 바꿨으면 좋겠다"라며 공감했다.
네티즌 D씨는 "어릴 때 외국 살다 왔다. 거기 친구들이 한국 놀러 와서 소개해 줄 때 이런 거 많이 느꼈다. 애들이 말하길 '한국은 이런 거 잘 돼 있어서 다니기 편하다'라고 하더라. 솔직히 안 그래도 되는데 지하철도 그렇고 식당 주문할 때도 자기들이 못 알아들으면 부끄러워하더라. 아니 놀러 온 건 외국인들인데 왜 한국인들이 영어 관련해서 창피해 하는지 이해 안 갔다. 그리고 영어를 더 예쁘다고 생각하는 것 같은데 솔직히 한글이 더 예쁘다"라고 털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