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K-99는 상온 초전도체라 할 수 없는 상태, 다만…” [한국초전도저온학회 오피셜]

2023-08-02 16:01

add remove print link

상온초전도체 검증위원회 발족한 한국초전도저온학회
재현 연구 진행 중, 논문샘플 제공받으면 교차측정 시행 예정

최근 퀀텀에너지연구소 등이 발견했다고 주장하는 상온 초전도 물질 LK-99 관련해 한국초전도저온학회가 공식 입장을 밝혔다.

자석 위에 초전도체가 반쯤 떠 있는 모습. 김현탁 박사 이름으로 사이언스 캐스트에 올라온 영상을 캡처한 사진. / 사이언스 캐스트
자석 위에 초전도체가 반쯤 떠 있는 모습. 김현탁 박사 이름으로 사이언스 캐스트에 올라온 영상을 캡처한 사진. / 사이언스 캐스트

2일 배포된 입장문에서 한국초전도저온학회는 "최근 퀀텀에너지연구소는 상온 및 상압 초전도 물질의 합성을 주장하는 연구 결과에 대해 두 편의 아카이브 논문을 통하여 발표하였다"며 "논문에서 주장하는 결과가 맞다면 이는 과학 기술 분야에서 매우 큰 영향을 주는 획기적인 연구 결과이어서 국내외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고 운을 뗐다.

이어 "한국초전도저온학회에서는 정상적인 절차에 따른 국내외 연구기관의 검증 결과를 지켜보고자 하였지만, 지난 수 일간 국내외에서 보고된 결과의 진위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고 검증되지 않은 다른 주장들이 추가되는 상황"이라며 '상온 초전도 검증위원회'를 발족한다고 알렸다.

한국초전도저온학회는 현재 상황을 과학적인 측면에서 정확히 판단하고, 결과를 명확히 판단하기 위해 상온초전도 검증위원회를 구성 대응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상온 초전도 검증위원회 위원장은 서울대학교 김창영 교수다. 검증위원회 구성원은 물리, 재료, 전기, 기계 분야 회원들로 꾸려졌다.

현재까지 상온초전도 검증위원회에서 논의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두 편의 아카이브 논문을 통하여 발표한 데이터와 공개된 영상을 기반으로 판단할 때 논문과 영상의 물질은 상온 초전도체라고 할 수는 없는 상태다.

(2) 퀀텀에너지 측에서 제작한 시편을 제공한다면 검증위원회에서 상온 초전도체 검증을 위한 측정을 하고자 한다. 검증에 참여할 회원소속기관은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포항공대 등이다.

(3) 제공받을 시편 외에도 성균관대학교 양자물질 초전도 연구단 고려대학교 초전도 재료 및 응용 연구실 서울대학교 복합물질상태연구단 등에서 LK-99 재현을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액체질소로 냉각되는 고온 초전도체 위에서 자기를 공중으로 올리는 이미지. 자료사진. / ktsdesign-shutterstock.com
액체질소로 냉각되는 고온 초전도체 위에서 자기를 공중으로 올리는 이미지. 자료사진. / ktsdesign-shutterstock.com

초전도저온학회장 최경달 한국공학대학교 에너지전기공학과 교수는 "상온초전도체임이 검증된다면 이는 과학 기술 분야에 매우 큰 영향을 주는 획기적인 연구 결과다. 그러나 이런 검증이 학술적인 검토를 거치지 않은 채 공개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경제 사회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는 건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상황에 대한 과학적인 판단과 이후 진행되는 검증 연구에 대해 학회의 검증위원회가 검토한 정보를 제공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한국초전도저온학회는 물리학 재료공학 기계공학 전기공학의 관련 연구자들이 결성한 초전도 관련 국내 대표적인 학술단체다. 1998년에 출범한 한국초전도학회와 한국초전도저온공학회가 2019년 통합, 현재의 한국초전도저온학회가 되었다.

학회에는 300여 명 정회원과 150여명 학생회원이 소속돼 있으며, 이론 물성 및 실험 전자 및 소자 응용 재료 응용기기 저온 등 총 6개 부문회로 구성돼 있다. 초전도 이론 및 물성 실험뿐만 아니라 양자컴퓨터 등의 조셉슨소자 응용, 초전도선재 개발, 고차장 초전도마그넷, 초전도 전력응용, 극저온공학 등의 학술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home 권미정 기자 undecided@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