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도 금리 내려가긴 어렵다는데 대출 급증하는 이유, 전문가들 엄중 경고
2023-10-04 09:56
add remove print link
저금리 기조 회귀 가능성 희박
부채에 따른 위험 감내 지양해야
고금리가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가계 대출은 계속 증가세를 보여 금융 전문가들이 주의를 당부했다.

4일(한국 시각) 미국 시카고상업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 시장은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정책 금리를 현 5.25~5.50%보다 낮출 확률은 내년 3월 기준 8% 수준이다.
최소 반년 동안은 금리가 지금보다 더 내려갈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분석이다.
한국 금융 시장은 미국을 따라가는 경향이 강하기에 대다수의 국내 전문가도 같은 전망을 내놓고 있다.
전문가들은 내년 하반기쯤 금리 인하가 된다고 해도 1%포인트 이상 내려가지 못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이런 분위기가 무색하게 우리나라의 가계 대출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국내 은행 가계 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한 달 전보다 6조9000억원 증가한 1075조원으로 집계됐다. 2021년 7월(9조7000억원 증가) 이후 2년 1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이다.
한은은 가계 대출 증가의 핵심 원인을 부동산으로 꼽았다.
한은은 지난달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금융 불균형의 심화는 부동산을 중심으로 진행돼 자원 배분의 효율성 저하, 부동산 경기에 대한 경제 취약성 등 부작용을 초래했다"고 진단했다.
정화영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역시 최근 발표한 '가계 레버리지(차입 투자) 확대가 성장 및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가계 부채의 빠른 증가는 부동산 관련 대출에 주로 기인한다. 가계 전반에 걸쳐 부동산 투자 의향이 크게 높아짐에 따라 주택 가격 상승 기대를 바탕으로 가계 부채 증가세가 확대될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과거와 같은 저금리 기조로의 회귀 가능성이 크게 낮아졌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부채를 활용함에 있어 과도한 수준의 위험 감내를 지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 위원이 통계청·금융감독원·한은의 가계금융복지조사를 토대로 계산한 결과, 지난해 기준 부동산 투자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가구 비율은 34세 이하와 35~44세, 45~54세 모두 70%를 웃돌았다. 주된 투자 목적은 '내 집 마련'이 아닌 '가치 상승'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