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유튜브·OTT '술방'에 연령 제한·경고 문구 권고 (+새 가이드라인)

2023-11-29 17:23

add remove print link

보건복지부·한국건강증진개발원, 최근 '미디어 음주 장면 가이드라인' 항목 개정
기존 10개 항목에서 12개 항목으로...음주 영상물에 연령 제한·경고 문구 삽입 권고

이영지, 백종원, 신동엽 / 유튜브 '차린건 쥐뿔도 없지만', '백종원 PAIK JONG WON', '짠한형 신동엽'
이영지, 백종원, 신동엽 / 유튜브 '차린건 쥐뿔도 없지만', '백종원 PAIK JONG WON', '짠한형 신동엽'

정부가 넘쳐나는 '음주 방송' 관련 적정 수준의 규제 활동을 위해 미디어 가이드라인을 새로 개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29일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미디어 음주 장면 가이드라인'을 기존 10개 항목에서 12개 항목으로 늘려 개정했다고 밝혔다. 몇 년 사이 해외에 본사를 두고 있는 유튜브를 시작으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에서는 연예인·유튜버·유명 인사들이 술을 마시며 방송하는 '술방'(술+방송) 콘텐츠가 우후죽순 쏟아지고있다. 정부는 술방이 대중적으로 확산되자 대중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 음주 장면 가이드라인을 개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 새 '미디어 음주 장면 가이드라인' 개정안에서 추가된 항목은?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미디어 음주 장면 가이드라인' 새 개정안에서 두 가지 항목을 추가했다. 먼저 '음주 행위를 과도하게 부각하거나 미화하는 콘텐츠는 연령 제한 등을 통해 어린이와 청소년의 접근성을 최소화해야 한다'와 '경고 문구 등으로 음주의 유해성을 알려야 한다'가 새롭게 추가된 항목이다.

■ 유튜브에서 인기 끌고 있는 각종 '술방' 콘텐츠들

해외에 본사를 두고 있어 국내 정서 및 법과 상관 없이 자유로운 콘텐츠가 올라오는 유튜브의 경우 술방이 올라오는 대표적인 플랫폼이다. 먹방 유튜버들은 음식을 먹으며 자연스럽게 음주를 하거나 아예 술을 마시는 모습을 촬영해 올리는 전문 술방 유튜버들도 적지않다. 유명 연예인들 역시 유튜브에서는 방송에서 쉽게 보여주지 못했던 음주 모습을 공개하곤한다. 래퍼 이영지가 진행하는 유튜브 예능 '차린 건 쥐뿔도 없지만', 개그맨 신동엽의 '짠한형', 성시경의 '먹을텐데', 백종원의 '백종원 PAIK JONG WON' 등의 채널에서 쉽게 음주 장면을 볼 수 있다.

이영지 / 유튜브 '차린건 쥐뿔도 없지만'
이영지 / 유튜브 '차린건 쥐뿔도 없지만'
신동엽 / 유튜브 '짠한형 신동엽'
신동엽 / 유튜브 '짠한형 신동엽'
백종원 / 유튜브 'PAIK JONG WON 백종원'
백종원 / 유튜브 'PAIK JONG WON 백종원'

성시경 / 유튜브 'SUNG SI KYUNG 성시경'
성시경 / 유튜브 'SUNG SI KYUNG 성시경'

■ 정부, '술방'이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악영향 파악 후 가이드라인 개정

정부는 이번 미디어 음주 장면 가이드라인 새 개정안에서 두 가지 항목을 추가했다. 먼저 음주 장면이 담겨있는 콘텐츠에 '연령 제한'을 걸어야 한다는 것, 이어 영상물에 '경고 문구'를 추가하라고 권고한다는 내용이다. 복지부 측은 사실상 술방이 전 연령대가 볼 수 있는 구조라며 자칫 어린이, 청소년이 음주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가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 보건복지부·건강증진개발원, '음주 폐해 예방의 달' 기념행사에서 공식 발표

복지부와 건강증진개발원은 새롭게 개정된 미디어 음주 장면 가이드라인 내용을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진행된 '음주 폐해 예방의 달' 기념행사에서 공식 발표했다. 이번 음주 폐해 예방의 달 기념행사는 '안전한 음주는 없습니다'라는 슬로건을 택했다. 복지부 측은 개정 가이드라인을 통해 콘텐츠 제작 단계부터 음주 장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방송국, 인플루언서, 크리에이터 소속사, 콘텐츠 제작 관련 협회와 협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home 김유표 기자 stor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