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와 연천군이 조성하는 수도권 최대 '반려동물 테마파크'에 대한 우려 나왔다.

2024-06-18 14:41

add remove print link

김경훈 서울시의원, 반려동물 함께 하는 차상위 계층의 접근성은 떨어진다는 지적
서울 내 장기 예산 미집행 공원이 많고 강서 및 서남권 녹지공간은 매우 적어... 균형 발전에 힘 써달라

김경훈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의원이 제324회 정례회 환수위 소관 푸른도시여가국 업무보고에서 '서울 반려동물 테마파크·추모관' 이용에 있어 사회적 약자층에 대한 배려를 당부했다.

지난 5월 개최된 반려동물 박람회의 모습.  / 뉴스1
지난 5월 개최된 반려동물 박람회의 모습. / 뉴스1
서울시는 지난 1월 경기도 연천군과 '서울 반려동물 테마파크·추모관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수도권 최대 규모의 '반려동물 테마파크' 조성에 착수했다. 2027년 개관을 목표로 경기 연천군 임진강 유원지 부지 일대에 반려동물 캠핑장 및 복합문화센터, 훈련장, 놀이터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반려동물 테마파크 사업은 인구감소 등 점진적 소멸 위기에 직면한 연천군과 반려동물 양육 가구가 늘어가는 서울시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데서 출발한다. 서울시는 테마파크 조성 및 운영을 맡고 연천군은 기반 시설 공사 및 임진강 구역 정비 등을 담당한다. 경기 여주와 오산 등지에 공공 반려동물 테마파크가 두 곳 있는 반면 서울 북부지역에 아직 해당 시설이 없다는 것도 사업 시행의 또 다른 이유다.

김경훈 서울시의회 의원이 질의하고 있다. / 김경훈 의원실
김경훈 서울시의회 의원이 질의하고 있다. / 김경훈 의원실
김 의원은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어 반려동물을 키우기도 하지만, 반대로 넉넉하진 않아도 외롭기에 가족처럼 반려동물을 키우는 독거 어르신들이나 차상위 계층분들이 계시다"며 "연천군이 물리적·심리적 거리가 있는 지역이다 보니 이처럼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외로운 시민분들이 반려동물 테마파크를 활발히 이용할 수 있을지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어 "서울시 정책 슬로건 중 하나가 '약자와의 동행'이다. 외로운 반려동물 가구들, 차가 없어 테마파크까지 이동하기 어렵고 테마파크에 대한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없는 시민께서도 해당 시설을 자주 접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아직 서울 내 장기 예산 미집행 공원이 많고 특히 강서 및 서남권은 녹지공간이 매우 적다"며 "반려동물 가구의 여가·레저 시설도 중요하지만, 일반 시민이 널리 이용할 수 있는 서울의 녹지공간 균형 발전에도 힘 써달라"고 강조했다.

home 권혁재 기자 mobomtaxi@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