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이 주인인 도시 구축’ 제2차 청년희망도시 구축을 위한 시행계획수립...5개 분야에 852억원 투입
2024-07-01 12:31
add remove print link
- 청년이 구성원이 청년희망단 직접 정책 발굴, 청년자율예산 반영 정책 추진 계획
- 청년온라인플랫폼, 청년이음전주 홍보 강화로 전주 청년정책 활성화 도모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가 청년이 주인이고 청년이 살고 싶은 도시구축을 위한 ‘2024년 전주시 청년희망도시 시행계획’을 수립했다.

전주시는 △고용·일자리 △주거·관계망 △문화·교육 △복지 △참여·권리 총 5개 분야 18개 부서에서 68개 사업에 852억60백만원을 투입하는 ‘제2차 청년희망도시 구축을 위한 기본계획(2023~2027)’에 따라 분야별 시행계획을 수립했다고 1일 밝혔다.
전주시 청년 인구는 5월말 전체 전주시 인구(639,831명) 대비 172,987명으로 27%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2020년 191,122명(29%)와 비교해 2% 감소한 것으로 인원으로 따지면 18,135명에 달한다.
이에 시는 지방인구소멸과 더불어 지역에서의 청년 유출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미래 전주의 주인인 청년이 주도하는 참여기반을 통해 청년의 지속적인 성장은 물론 청년이 살고 싶은 도시 조성으로 전주에 제대로 안착할 수 있도록 전주시 청년정책의 분야별 세부 추진계획을 수립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 고용․일자리 분야로 청년 일자리 확대 및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 구직청년 취업지원 강화, 청년창업가 발굴 육성 및 창업 성장 프로그램 운영 등 34개 사업에 597억14백만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지역 내 양질의 일자리 발굴과 취업 역량을 강화해 청년 고용 기회를 확대, 전주에 정착을 유도한다.
◇ 청년 일자리 확대 및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
- 전주기업반 취업지원(1개 대학 30명), 출향청년 채용 전주기업 취업 지원(13명),
-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263명),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창출사업 지속 추진(35명),
- 취업연계 용복합 고급인력 양성(55명), 금융산업 전문인력 양성(50명)
◇ 구직청년 취업지원 강화
- 미취업 청년 어학시험 응시료 지원(500명), 미취업 청년 활력수당(892명)
- 미취업 청년 면접정장 무료대여 지원(1,380건), 취업준비 청년 교통비 지원(300명)
◇ 청년창업가 발굴‧육성 및 창업 성장 프로그램 운영 등
- 창업경진대회 개최, 오렌지플래닛 전주센터,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운영
- 전주 기술창업성장지원센터 건립, 청년키움식당 조성 운영, 창업중심대학(81개사) 운영
△ 주거·관계망분야에서는 청년의 주거안정과 지역내 네트워크 강화를 위해 청년 공공매입임대주택 추가 공급 및 주거비용 경감, 청년소통 공간 운영 및 청년 교류 활동을 지원하고자 7개 사업에 132억30백만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 청년 주택 공급 확대 및 주거비용 경감 지원
- 청년 매입임대주택 추가 공급(36호) 사회주택 추가 공급(26년까지 70호)
- 청년 월세 한시 특별 지원(1,870명 ⇒ 최대 240만원)
- 신혼부부 공공임대주택 임대보증금 지원(167가구 ⇒ 최대 2,000만원)
◇ 청년 소통공간 운영 및 청년 교류 활동 지원
- 청년 소통공간 ‘비빌’ 운영(4개소), 청년이음전주(청년소통공간) 운영
- 청년 프로젝트 기획단 운영(19명), 사회적경제 청년서포터즈 운영(28명)
△ 문화·교육분야에서는 청년 문화예술 향유와 미래인재 양성을 위해 청년 예술가 활동 지원, 창작활동 공간 지원 및 미래인재 양성과 교육기회를 보장하고자 10개 사업에 12억32백만원을 투입한다.
◇ 청년 예술가 활동 지원 및 창작활동 공간 지원
- 신진예술가‧청년예술인 활동지원(작품 제작 지원, 전문가 컨설팅, 창작활동비 지원 등)
- 청년예술가 창작활동 공간 지원(팔복예술공장, 동문예술거리 등)
◇ 미래인재 양성과 교육기회 보장
- 대학생 학교밖 청소년교육 협력 지원(멘토 40명, 청소년 100명)
- 지역 혁신을 위한 대학과의 협력기반 구축(전주시 관내 6개 대학)
- 대학생 학자금 대출이자 지원(1,000명)
- 지역우수인재 장학생 지원(110명)
△ 복지분야에서는 청년의 걱정을 덜어주는 사회안정망을 강화하고자 청년의 자립을 위한 자산형성 지원, 사각없는 촘촘한 청년복지 실현을 위해 11개 사업에 108억99백만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시행한다.
◇ 청년의 자립을 위한 자산형성 지원
- 근로청년의 경제적 자립, 소득격차 해소를 위한 자산형성지원
- 청년 함께 두배 적금(400명), 청년 지역정착(청년수당) 지원(1,329명), 청년내일저축계좌(2,787명)
◇ 사각없는 촘촘한 청년복지 실현
- 분야별 청년의 상황에 맞는 맞춤형 지원으로 소외됨 없는 정책 추진
- 군복무 청년 상해보험 가입지원(4,509명), 자립준비청년 자립정착금 지원(9명)
△ 참여·권리분야에는 청년이 주도하고 실행하는 참여기반 확대를 위해 청년센터 확대 구축 및 소통교육 활성화, 청년자율예산제 등을 운영하고자 6개사업에 1억97백만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 청년센터 확대 구축 및 소통교류 활성화
- 청년이음전주 공간 확장 조성 및 확대 이전 부지‧건물 모색
- 청년 온라인 플랫폼 청정지대 운영
- 청년희망단(8기 40명), 청년희망도시 정책위원회(2회), 청년희망단 4개분과별 멘토 운영
◇ 청년 정책 참여 확대 및 활성화
- 청년자율예산제 운영, 청년참여 민간보조금 지원(4개단체)
특히 올해는 청년의 참여를 확대․강화하고자 제8기 청년희망단을 40명으로 정예화하여 4개 분과별 단장을 중심으로 제안한 아이디어를 청년정책으로 발굴했다. 이어 오는 8월까지 정책전문가 심사를 통해 우수정책을 선정하고, 실무부서의 면밀한 검토를 거쳐 청년자율예산에 적극 반영한다.
전주시 기획조정국장은 “전주시 청년의 참여로 발굴되는 아이디어를 정책에 지속적으로 반영하고, 현재 운영하는 청년온라인플랫폼, 청년이음전주 등 청년소통 채널을 강화해 종합적 정보전달체계를 구축하겠다”면서 “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청년정책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홍보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