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병원, 185억 규모 생체이식형 융합의료기기 구축사업 추진

2024-07-17 15:39

add remove print link

주관연구기관으로서 산자부·광주시 등 지원 받아 실증기반 다져
3D프린팅기술 적용 골대체 이식형 의료기기사업화 추진

전남대학교병원(병원장 정 신)이 골반골·인공턱·두개골 등 골결손 부위를 대체하는 맞춤형 생체이식형 융합의료기기를 개발하기 위한 ‘골대체 융합의료기기 실증기반 구축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 광주시 등이 2028년까지 5년간 국비 100억원과 지방비 40억원, 민자 45억 등 총 185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골대체 융합의료기기의 핵심기술인 적층제조(3D프린팅) 기술을 적용한 맞춤형 임플란트 제작 기반시설을 구축하고 제품 사업화를 하게 된다. 특히 전남대병원은 이중 84억원을 지원받아 골대체 융합의료기기 실증기반을 탄탄히 다지는 역할을 하게 된다.

주관연구 기관인 전남대병원은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주테크노파크,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남부대학교 산학협력단과 협력을 통해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으로 골대체 융합의료기기의 연구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

노인성 질환과 사고 등에 의해 발생한 골결손은 기존의 치료 방법으로는 치료가 거의 불가능하지만, 3D 금속프린터를 이용한 적층제조 기술을 적용한 맞춤형 의료기기 제작을 통해 치료가 가능하다. 또한 맞춤형으로 제작된 골반골, 인공턱, 두개골 및 안와골 등은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건강한 100세 시대를 선도할 획기적인 미래 의료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골대체 융합의료기기는 질병으로 인한 골종양과 고령화에 따른 골결손 치료에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번 사업을 통해 전남대병원은 골대체 융합의료기기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총괄 연구책임자인 전남대병원 윤택림 교수는 “이번 기반구축사업을 통해 의료기술의 혁신은 물론, 고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지역 경제 발전과 국내 의료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지역의 의료산업 발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며, 첨단 기술과 혁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home 노해섭 기자 nogar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