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금시세(금값)... “인도의 금·은 수입 세율 인하 영향”
2024-07-24 11:04
add remove print link
3.75g 한 돈 기준 순도별 금가격 공개
24일 금시세(금값), 은시세(은값) 모두 전일 대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채권 금리 하락과 인도의 금·은 수입 세율 인하가 이번 귀금속 가격 상승에 큰 힘을 보탰다는 게 전문가들 의견이다.
국내 금·은 거래 주요 기관별 이날 기준 금가격(이하 3.75g 한 돈 기준)은 다음과 같다.

▲한국금거래소
순금(24K) : 매입가 45만 4000원 / 매도가 39만 7000원
18K 금 : 매입가 '제품 시세 적용' / 매도가 29만 1800원
14K 금 : 매입가 '제품 시세 적용' / 매도가 22만 6300원
백금 : 매입가 18만 4000원 / 매도가 14만 9000원
은 : 매입가 5730원 / 매도가 4560원

▲한국표준금거래소
순금 : 매입가 45만 3000원 / 매도가 39만 8000원
18K 금 : 매입가 '제품 시세 적용' / 매도가 29만 2500원
14K 금 : 매입가 '제품 시세 적용' / 매도가 22만 6800원
백금 : 매입가 18만 4000원 / 매도가 13만 9000원
은 : 매입가 5630원 / 매도가 4070원

▲금시세닷컴
순금(24K) : 매입가 44만 8000원 / 매도가 40만 원
18K 금 : 매입가 33만 3000원 / 매도가 29만 5000원
14K 금 : 매입가 26만 원 / 매도가 22만 9000원
백금 : 매입가 16만 원 / 매도가 15만 원
은 : 매입가 4900원 / 매도가 4600원
<오늘의 금시세 영향 요인 분석>
23일(미국 현지 시각) 뉴욕상품거래소에서 8월물 금 선물 가격이 전일 대비 14.60달러(0.61%) 상승해 온스(약 30g)당 2409.30달러(약 335만 6000원)에 거래됐다. 금가격이 온스당 2400달러를 다시 회복하며 지난 16일 이후 5거래일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전문가들은 몇 가지 경제적 요인이 글로벌 금가격 상승을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첫째, 이번 주 발표될 예정인 6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와 2분기 성장률 속보치에 대한 기대감이 투자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경제 지표들은 시장 불확실성을 키우며 안전자산으로서의 금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다.
둘째, 미국 채권 금리의 소폭 하락이 금가격에 지지력을 제공했다. 채권 금리가 하락하면 비이자 지급 자산인 금의 매력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셋째, 중국 인민은행(PBOC)의 깜짝 대출우대금리(LPR) 인하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국 경제에서 금리 인하는 유동성 증가와 수요 개선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인도의 금 수입 세율 인하 소식도 금값 상승에 기여했다. 인도 정부는 금과 은에 대한 수입 세율을 기존 15%에서 6%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이에 따라 귀금속에 대한 소매 수요가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