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기야... 해피머니·컬쳐랜드 상품권의 현재 상황이 예사롭지 않다

2024-07-26 14:07

add remove print link

네이버·카카오 이용 일시 제한... 상품 노출 차단까지

25일 오후 서울 강남구 티몬 본사 사옥 앞에서 '정산 지연 사태'로 환불을 요구하는 피해자들로 붐비고 있다. / 뉴스1
25일 오후 서울 강남구 티몬 본사 사옥 앞에서 '정산 지연 사태'로 환불을 요구하는 피해자들로 붐비고 있다. / 뉴스1

네이버와 카카오가 티몬·위메프 상품의 상품 노출을 중단했다. 양대 포털이 광고 집행까지 막으면서 판매대금 정산 지연 사태에 휩싸인 두 회사가 더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와 카카오가 전날부터 티몬·위메프 상품의 노출과 광고를 차단했다. 쇼핑 검색 결과에서 아예 삭제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연합뉴스에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네이버 쇼핑 검색에서 티몬과 위메프 상품 노출을 일시 중단했다"며 "상품이 정상적으로 제공되면 티몬, 위메프와 협의를 거쳐 서비스 재개 여부를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카카오 관계자는 뉴스1에 "전날 다음 쇼핑하우 상품비교에서 티몬·위메프 상품 노출을 중단했다"며 "서비스 재개 여부는 티몬· 위메프와 협의를 통해 결정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웹툰·웹소설·뮤직 등 각종 서비스와 관련 선불제 온라인상품권을 통한 결제 서비스 중단에도 나섰다.

네이버웹툰은 쿠키 결제수단으로 제공하던 해피머니와 컬쳐랜드 상품권의 이용을 일시적으로 제한했다. 카카오는 카카오페이지, 카카오웹툰, 이모티콘숍, 카카오뮤직, 멜론 등이 제공하던 해피머니 결제 서비스를 전날 오후 6시부터 중단했다.

이번 사태는 티몬·위메프가 자초했다. 두 회사는 현금을 마련하려고 해피머니 상품권을 비롯한 각종 상품권을 대폭 할인 판매하다 유동성 문제에 직면했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티몬·위메프가 판매자 정산과 소비자 환불을 미루자 미수금 발생 위험을 차단하려고 상품권 이용을 중단한 것으로 보인다.

해피머니는 전날 '자사 이슈가 아닌 사용처 사유로 부득이한 조치를 내린다'며 임시점검에 들어갔다. 해피머니 상품권은 네이버·카카오 외에도 구글, 페이코, SSG페이, 엠트웰브 등 결제대행사(제휴사)에서 포인트 등으로 전환할 수 없다.

해피머니 상품권은 곤욕을 겪고 있다. 엔씨소프트, 넥슨, 넷마블, 크래프톤 등이 해피머니 등을 통한 결제·충전 서비스를 일시 중단했기 때문이다.

한편 대통령실은 이번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현재 공정위, 금융위, 금감원을 중심으로 관계 부처가 긴밀하게 회의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다"며 "대통령실이 지시한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커머스 중소 입점 업체를 위한 긴급 경영안전자금 지급 방안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방안은 각 부처에서 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home 채석원 기자 jdtimes@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