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러들 다 망하게 하려고 작정”... 티몬·위메프에서 아찔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2024-07-30 08:49

add remove print link

최대 1조원대인데... 구영배 대표, 티몬·위메프 판매자 정산 사실상 포기한 듯

서울 강남구 티몬 본사 / 뉴스1
서울 강남구 티몬 본사 / 뉴스1

구영배 큐텐 대표가 티몬·위메프 판매사(셀러)에 대한 정산을 포기한 게 아니냔 말이 나온다.

큐텐그룹의 설립자인 구 대표는 29일 티몬·위메프 정산 지연 사태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을 밝히는 과정에서 "현재 양사(티몬·위메프)가 파악한 고객 피해 규모는 여행상품을 중심으로 합계 500억원 내외로 추산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처럼 소비자 대상 환불액을 언급한 구 대표는 판매자들이 입은 피해액에 대해서는 정확히 들먹이지 않았다.

이처럼 구 대표가 고객 피해액만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판매사 피해액을 언급하지 않으면서 판매사 정산에서 사실상 손을 턴 게 아니냔 우려가 나온다. 개인 소비자에 대한 환불 조치로 생색을 내고 정부 지원에 기대기 위해 미리 포석을 깔았다는 것이다.

구 대표는 정부가 소상공인들의 피해를 두고만 보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그는 “판매자 피해 규모는 정확한 추산이 어렵지만 양사가 파트너사들과의 기존 정산 지원 시스템을 신속히 복원하지 못하면 판매자 피해 규모가 늘어날 것으로 우려된다"라면서 ”파트너사에 대한 지연이자 지급과 판매수수료 감면 등의 셀러 보상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파트너사 및 금융권 등 관계 기관과의 소통 및 협조 요청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에 노골적으로 협조를 요청한 셈이다.

티몬·위메프는 이날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기업회생절차는 부채를 영업이익으로 감당할 수 없을 경우 밟는다.

파산에 비해 채권 회수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채권자들이 반드시 모든 채무를 회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회생절차를 통해 기업의 채무가 조정되기 때문이다. 채무액을 감액하거나 상환 기간을 연장하는 등 채권자들에게 불리한 조건이 포함될 수도 있다. 채무를 받을 때까지 버틸 수 없는 기업들에선 정리해고나 부도를 맞을 수도 있다. 판매사들이 “큐텐이 우리들을 다 망하게 하려고 작정했다”라고 반발하는 이유다.

티몬·위메프 "회생제도를 통해 사업 정상화를 도모하고, 판매회원들과 구매회원들이 피해를 받지 않도록 하겠다"며 "그 과정에서 뼈를 깎는 자구 방안을 실행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업계는 티몬·위메프 사태로 인한 판매사 피해액이 최대 1조원을 넘을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큐텐은 최근 금융당국과 면담하면서 다음 달 중 해외 계열사 위시를 통해 5000만달러를 조달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이는 판매사 피해를 보상하기엔 턱없이 부족한 액수다.

실제로 정부가 위메프·티몬의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투입하겠다고 밝힌 정책자금이 최소 5600억원에 이른다. 이 돈은 소상공인을 위한 대출 자금이기에 사태 해결을 위한 근본적인 방법은 아니다.

금융감독원은 "사태 해결을 위해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라며 구 대표를 압박하고 있다.

구 대표는 30일 국회 정무위원회 현안질의에 출석한다. 이 자리에서 판매사들을 위해 어떤 대책을 내놓을지에 업계 관심이 쏠린다.

방기홍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 회장이 2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티몬·위메프 사태 피해 입점업체 피해사례를 발표하고 있다. / 뉴스1
방기홍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 회장이 2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티몬·위메프 사태 피해 입점업체 피해사례를 발표하고 있다. / 뉴스1

home 채석원 기자 jdtimes@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