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정보사 블랙 요원 명단 유출…북한 소행으로 추정된다”
2024-07-30 16:05
add remove print link
“상당한 안보상 타격 있을 것”
문재인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장을 지낸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군정보사령부 소속 군무원이 대북 첩보 활동을 하는 정보사령부(정보사) 국외 요원들의 정보가 유출된 것을 두고 "북한의 소행으로 의심된다"고 전했다.

박 의원은 30일 SBS 라디오에 출연해 '북한에서 활동하는 블랙 요원의 신분 등을 포함한 기밀정보가 어느 정도 북으로 넘어갔냐?'는 질의에 대해 “군 정보사 문제이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파악하기는 힘들다”라며 “국정원장도 군 문제이기 때문에 자세하게 말씀드리기는 어렵다고 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어떻게 됐든 우리 블랙 요원들의 리스트가 해외동포를 통해서 유출됐다면 북한의 소행으로 의심된다”라고 전했다.
박 의원은 '국정원에서도 군 정보사의 문제이기 때문에 전혀 파악을 못 하는 것이냐'는 질의에 대해 “그렇지는 않지만, 굉장히 민감한 문제다. 사실 어떤 얘기를 하는 것도 굉장히 위험스럽고 부담스럽다"라며 "이 때문에 국정원에서도 답변을, 또 우리 국회 정보위원회 위원들도 그 이상 추궁하지 않았다”라고 강조했다.
또 박 의원은 "만약 블랙 요원들의 명단이 고스란히 북한에 입수되면 그분들의 활동이 어려워 진다”라며 “이게 하루 이틀 구축해서 이루어지는 게 아니기 때문에 상당한 안보상 타격이 클 것”이라 우려했다.

박 의원은 정보를 넘긴 혐의를 받는 군무원 A 씨가 해킹을 주장하고 있는 것에 대해 “해킹을 꼭 배제할 수는 없다. 국정원이 사이버 대책을 잘 세우고 있고, 하루에 100~200만 건의 해킹이 우리나라를 향해서 들어오는데 이러한 것을 국정원에서 차단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대법원 해킹 등 해킹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난다. 법과 제도, 기술적인 문제에 대한 강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박 의원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둘째 딸 김주애가 북한 후계자 수업을 받고 있다는 국가정보원의 국회 보고 내용과 관련해 "아직 김주애가 후계자의 길을 밟고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라며 “아들은 외국에서 유학하고 있기 때문에 감추고 있는 것 아닌가"라고 예측했다.
한편 중앙군사법원이 30일 군 정보요원의 신상정보 등 군사기밀을 유출한 혐의를 받는 국군정보사령부 소속 군무원 A 씨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고 국방부가 이날 밝혔다.
정보사 해외 공작 부서 소속인 A 씨는 조선족 등에게 '블랙 요원'과 '화이트 요원' 등 휴민트(인적정보)를 포함한 군사기밀을 넘긴 혐의를 받고 있다. 그는 부사관 간부 출신으로 퇴직 후 사무관 군무원으로 채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화이트 요원은 외교관 직함으로 해외에서 활동하는 공식적인 요원을 뜻하며, 블랙 요원은 신분을 숨기고 일반인으로 행동하면서 정보를 수집하는 비공식적 요원을 뜻한다. 블랙 요원의 경우 첩보 활동을 하다 목숨을 잃더라도 생사를 공개하지 않는다.
현재 A 씨는 자신의 노트북이 해킹됐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 당국은 A 씨의 주장대로 해킹됐을 가능성과 노트북에 기밀자료를 두고 해킹되는 것을 의도적으로 방치했을 가능성 등 모든 상황을 염두에 두고 수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부는 “A 씨의 구체적인 범죄사실은 현재 수사가 진행 중인 관계로 자세한 설명이 제한되며, 향후 법과 원칙에 따라 철저하게 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정보 유출로 인해 외국에 파견됐던 정보요원 수십 명이 신변 위협을 느껴 보유 차량 및 집, 사무실 등을 처리하지 않은 채 활동을 접고 급거 귀국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