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이면 전화 한 통으로…어르신과 장애인 '돌봄' 서비스 받는다
2024-09-10 09:32
add remove print link
돌봄 전담 지원센터 설치·운영하기로
다음 달부터 어르신이나 장애인 돌봄이 필요한 서울시민이라면 누구나 전화 한 통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지난 9일 서울시는 돌봄 서비스 공공성 강화를 위한 대대적인 계획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서울시는 향후 5년간 8786억원을 투입해 어르신·장애인에 대한 돌봄 서비스 지원을 늘리는 ‘돌봄 서비스 공공성 강화 계획’을 시작한다.
우선 다음 달 돌봄 전담 지원 기구인 ‘사회서비스지원센터’를 공덕동 서울복지재단에 설치·운영한다. 센터는 민간 돌봄서비스의 품질 관리와 자문, 교육 지원 업무를 맡을 예정이다.
이번 계획은 서울시사회서비스원(서사원) 해산에 따른 돌봄 공백을 막고 서비스 질을 향상하기 위해 마련됐다. 서울시는 서사원이 당초 기대와 달리 공공성을 담보하지 못한 채 방만하게 운영됐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따라 시는 공공의 역할을 '직접 서비스 제공'에서 '민간 지원·관리·육성'으로 전환하고, 다양한 민간 서비스 제공기관을 지원할 방침이다.
돌봄 서비스 접근성도 개선된다. 이를 위해 돌봄 전문 상담콜센터인 '안심돌봄120'을 다음 달부터 시범 운영한다. 120다산콜센터로 전화한 뒤 특정 번호를 누르면 자동으로 전담 상담원에 연결된다.
이는 그동안 돌봄이 필요한 시민이 제때 필요한 정보를 얻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해결하기 위한 조치다.
이로써 앞으로 서울시민이 돌봄이 필요할 때 120다산콜센터로 전화 한 통만 하면 상담부터 기관 연결까지 원스톱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돌봄 서비스를 전담하고 지원하는 사회서비스지원센터도 문을 열 예정이다.

또한, 서울시는 방문 요양, 장애인 활동 지원, 돌봄SOS서비스 등을 확대해 돌봄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특히 침상이나 중증 치매 등 고난도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에게는 서울형 '좋은돌봄인증기관'을 연계해 돌봄 기피 현상을 막도록 했다. 요양보호사 1명이 관리하기 어려운 어르신에게 2인 1조 서비스를 제공하면 시가 추가 인건비를 하루 4시간까지 지원한다.
돌봄 종사자 처우도 개선된다. 방문 요양보호사가 고난도·중증 대상자를 혼자 돌보면 시간당 5000원의 추가 수당을 지급한다.
또한, 서울형 좋은돌봄인증 방문요양기관 소속 종사자나 중증장애인 전문활동지원기관 소속 사회복지사에게는 매년 30만원의 복지포인트를 제공한다.
서울시는 돌봄 노동자의 근무 환경도 개선할 계획이다. 배설 케어, 웨어러블 로봇과 치매 어르신 대상 스마트 인지 프로그램도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돌봄 노동자에게는 법률, 성희롱, 심리, 업무 고충 등 전문 상담을 지원한다. 돌봄 도중 성희롱 피해 등 다양한 사건·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서다.
정상훈 서울시 복지실장은 "서사원 해산 이후 단 한 분의 시민이라도 불편함 없이 더 나은 돌봄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대책을 마련했다"며 "오늘 발표한 정책을 시작으로 '좋은 돌봄'을 책임지고 제공하기 위해 현장과 소통하며 정책을 시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