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거되는 양은 극히 일부…버려지는 '폐의약품'이 문제가 되고 있다
2024-09-24 17:24
add remove print link
4대강 130곳에서 고혈압 치료제, 진통제, 당뇨병 치료제 등 19종의 약물 검출
전문가들이 버려지는 폐의약품의 위험성과 낮은 수거율에 대해 지적했다.
지난 23일 환경부는 지난해 전국 폐의약품 수거량이 712.8t 규모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2022년 486.9t 대비 46.3% 늘어난 규모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약국 등을 통해 수거된 폐의약품은 극히 일부이며 대부분의 폐의약품이 일반 쓰레기나 하수구로 버려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한 동아제약 관계자는 “초고령사회 진입으로 의약품 복용이 늘어 2025년엔 6700t의 폐의약품이 발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제약업계는 매년 최소 4000톤의 폐의약품이 일반 쓰레기나 하수도로 버려진다고 추정한다. 이는 2012년 국립환경과학원이 추정한 가정 내 보관된 미사용 약물량 9345톤을 바탕으로 한 통계다.
국립환경과학원이 지난해 4월부터 1년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4대강 130곳에서 고혈압 치료제 텔미사르탄, 진통제 트라마돌, 당뇨병 치료제 시타글립틴 등 19종의 약물이 검출됐다.
한국의 자발적 수거 참여율은 낮다. 지방자치단체 절반은 관련 조례조차 없다. 전문가들은 수거일을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전국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18년에 실시한 마지막 전국 조사에 따르면, 약국과 보건소를 통한 폐의약품 수거율은 7.8%에 불과했다.
폐의약품 중 마약류, 항생제, 피임약은 무단 폐기로 인한 위험이 크지만, 국내 폐의약품 수거 시스템은 여전히 '환경부 권고' 수준에 머물러 있다.
전문가들은 약국뿐만 아니라 접근이 쉬운 곳에 수거함을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가정 내 보관된 폐의약품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수거일'을 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박석순 교수는 "폐의약품에 대한 생산자책임제(EPR) 도입도 하나의 해결책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폐의약품은 환경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하지만 일반 시민들은 폐의약품 분리수거 방법을 모르거나 혹은 분리수거해야 한다는 사실조차 몰라 일반쓰레기와 함께 배출하는 경우가 많다.
폐의약품을 분리수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의약품의 종류에 따라 분류한다.
알약의 경우 봉투나 포장지 등은 일반 쓰레기로 배출하고 약품만을 모아두면 된다. 흔히 캡슐약이라고 부르는 PTP 정제는 케이스를 분리해 알약만 따로 배출한다.
가루약의 경우는 초장지 상태 그대로 배출하며, 물약 또는 시럽 형태의 약품은 액체만 따로 분리해 밀봉 상태로 배출한다.
그 외 연고나 안약 등은 외부로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게 용기의 뚜껑을 확실하게 잠근 후 배출한다.
2. 지정된 장소에 배출한다.
주로 약국이나 보건소, 행정복지센터 등을 방문해 폐의약품을 배출한다. 단, 장소에 따라 수거를 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사전에 수거를 하고 있는 곳인지 미리 문의해두는 편이 좋다.
또한 공동주택 등에 폐의약품 수거함이 있는 경우 이곳에 배출하면 된다. 우정사업본부와 협약이 이뤄진 지역에서는 물약을 제외한 약을 전용봉투나 폐의약품이라고 적힌 봉투에 담아서 우체통에 배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