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단체 관광객에게 1인당 5만원씩 지원... 논란 확산
2025-08-14 09:47
add remove print link
지역경제 회복 위한 선택이라지만…

다음 달부터 중국인 단체 관광객의 한시적 무비자 입국이 시행되는 가운데, 경상남도가 중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1인당 숙박비 5만원을 지원키로 해 논란이 일고 있다.
14일 경상남도에 따르면 도는 9월 29일부터 중국인 단체 관광객에 대한 한시적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는 정부 정책에 맞춰 중국인 대상 체류형 관광상품 판매를 시작했다.
중국 '성운국제여행사', 대만 '콜라투어', '라이언트래블' 등 중화권 여행사들이 풍부한 역사 문화와 수려한 자연경관, 특색있는 축제를 보유한 진주시·거제시·통영시·김해시 등 경남 9개 시군 중에서 2개 이상 시군을 연계한 체류형 단체 관광상품을 취급한다.
중화권 대표 여행사들이 시군 연계 상품을 개발하고, 경남관광재단은 관광객 1인당 숙박비 5만원을 지원한다.
숙박비 지원금은 중국, 대만 현지 여행사와 협력해 기획된 체류형 단체 관광상품을 구매한 경우에만 적용된다. 도는 이를 통해 지역 숙박, 쇼핑 업계 매출 증대와 관광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중화권 여행사들이 개발해 돈도 버는 관광상품에 국내 지자체가 숙박비를 대주는 구조다.
일각에서는 “국내 여행객이나 일본, 동남아 등 다른 외국인 관광객에게는 없는 혜택을 중국인에게만 제공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나온다. "세금을 내는 경남 도민은 아무런 혜택을 못 받는데, 특정 국가 관광객만 지원하는 것은 명백한 역차별”이라는 비판이 따른다.
경제적 실효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관광 전문가들은 "중국인 단체 관광객은 대부분 저가 패키지를 이용하며, 숙박과 식사도 저렴한 옵션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들이 실제 지역경제에 떨어뜨리는 소비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고 분석한다.
관광업계에서는 “관광객 유치는 필요하지만, 특정 국적을 우대하는 방식은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다”며 “다양한 국가를 대상으로 한 균형 잡힌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경상남도 관계자는 “한시적으로 시행하는 체류형 관광 활성화 정책”이라며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형평성과 장기적 효과에 대한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