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횟감'에 비상 걸렸다…고수온에 더 비싸진다는 '이 생선'
2025-08-25 08:58
add remove print link
광어·우럭 출하량 하락
올여름 바다의 수온이 작년보다 빠른 속도로 올라 양식 어종의 폐사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민 횟감'으로 불리는 광어와 우럭에도 비상이 걸렸다.

25일 연합뉴스와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올해 고수온 위기 경보 ‘주의’ 단계는 지난해보다 일주일 이른 지난달 3일 발령됐다. 한 단계 높은 ‘경계’ 단계는 작년보다 보름 이른 지난 9일 발령됐으며, 지난달 7일에는 수온 관측이 이뤄진 서해와 남해, 제주의 해역 11곳 모두 작년과 평년의 수온을 각각 넘어섰다.
해수부 관계자는 바다 수온이 장마 기간 잦은 호우로 떨어졌다가 장마가 끝나고 다시 오름세로 전환한 것으로 봤다.
더 큰 문제는 폭염이 이어지고 있어 바다 수온은 계속 오를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지난주부터 다시 시작된 전국적 폭염으로 수온 상승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히며 "지속적인 수온 상승이 전망돼 추가적인 고수온 주의보 발표 확대와 경보 단계 상향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온 현상은 양식 어종의 폐사를 불러 더 큰 타격을 입히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폐사 피해는 우럭과 광어 등 양식 어종에 집중됐다.
특히 올해 양식어종 폐사 피해는 작년보다 일찍 발생하기 시작했다. 행정안전부의 안전관리 일일상황에 따르면 올해 첫 양식어종 폐사는 지난달 27일 발생했다. 이는 작년보다 나흘 앞선 것이다.
광어와 우럭의 지난달 생산량도 작년 동기보다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업관측센터의 수산 관측을 보면 우럭의 지난달 출하량은 작년 같은 달보다 17.5% 줄어든 1017t이다. 전달보다도 21.0% 감소했다.
이에 따라 우럭의 지난달 산지 가격은 1㎏ 당 7천 원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지역과 중량에 따라 9.2∼55.6% 높은 수준이다. 해양수산개발원은 이달에도 수온이 상승하면서 출하 여건이 나빠져 출하량이 작년 같은 달보다 11.3% 적을 것으로 전망했다.
광어의 경우 지난달 출하량은 폭염과 집중호우의 여파로 작년 같은 달보다 2.3% 줄어든 3057t으로 집계됐다. 전달보다 4.4% 적은 양이다. 산지 가격은 지역과 중량에 따라 작년 같은 달 대비 3.2∼40.0% 비쌌다. 해양수산개발원은 광어의 이달 출하량은 작년 같은 달보다 6%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