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세종시, '교육수도' 꿈꾸는 첫걸음…현실화엔 제도적 뒷받침 필수

2025-09-02 14:45

add remove print link

서울대-세종시 교육 협력 MOU 체결…AI·평생교육 등 4대 분야 공동 추진
메가 싱크탱크·교육단지 비전 제시했지만…법제화·재정 구조는 과제로 남아

왼쪽부터_최민호_시장__유홍림_서울대_총장 / 세종시
왼쪽부터_최민호_시장__유홍림_서울대_총장 / 세종시

[세종=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출범한 세종시가 또 하나의 도전에 나섰다. 이번엔 ‘교육수도’다. 수도 서울의 상징인 서울대학교와 손잡고, 미래 인재 양성과 정책연구를 아우르는 지식 협력 플랫폼 구축을 선언했다. 하지만 제도적 기반 없이 비전만 앞세운 계획은 공허하다는 지적도 함께 나온다.

세종치시와 서울대학교는 9월 2일 서울대 본교에서 ▲평생교육 ▲공공인재 양성 ▲AI·첨단과학기술 교육 ▲국가 메가 싱크탱크 구축 등 4대 분야 협력을 담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교육을 넘어 정책과 연구를 연계해 세종시를 지식기반 미래도시로 육성하겠다는 전략적 의도가 반영됐다.

세종시는 이를 계기로 AI 기반의 미래형 교육단지를 조성하고, 국책연구기관과 서울대가 결합된 글로벌 교육·연구 허브 구축에도 속도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국가적 메가 싱크탱크 역할을 목표로 세종시를 ‘정책+학문+과학기술’ 융합의 거점으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현실적 쟁점도 적지 않다. 서울대학교의 세종시 직접 이전이 아닌 ‘협력’ 수준에 머무는 이번 협약으로는 실질적인 권한 이전이나 정책 주도권 확보가 어렵다는 분석이 있다. 또한 교육단지 조성, 메가 싱크탱크 구축 등은 막대한 예산과 법적 근거가 수반돼야 하는데, 아직 관련 제도 정비는 요원하다.

서울대학교의 ‘국립대학법인화’ 지위 역시 정책 유연성과 독립성 측면에서 한계로 작용할 수 있다. 단순 캠퍼스 분원이나 산하 센터 수준으로 그칠 경우, 협약의 파급력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세종은 국가 미래를 만들기 위해 태어난 도시”라며 “서울대와 함께 그 미래를 구현하겠다”고 강조했다. 유홍림 서울대 총장도 “서울대가 국가 정책과 학문 융합 플랫폼이 되도록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비전 제시를 넘어, 교육과 연구의 실질적 융합이 이뤄지기 위해선 법제화, 예산 확보, 조직 연계 등 구체적 실행계획이 뒤따라야 한다. ‘교육수도 세종’은 선언이 아니라, 실현 가능한 구조와 제도로 완성돼야 한다.

home 양완영 기자 top0322@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