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교육청, 공동교육과정 현장 소통으로 작은학교 경쟁력 높인다
2025-11-11 16:37
add remove print link
삼기초 방문…지역 특성 살린 교육과정 운영 사례 공유
“작은학교, 협력 통해 더 큰 배움을”
[위키트리 광주전남취재본부 노해섭 기자]전라남도교육청(교육감 김대중)이 11일 곡성 삼기초등학교를 찾아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운영 현장을 점검하고 교사·학생들과 직접 소통했다. 본 행사는 작은학교의 교육력을 높이기 위한 공동교육과정 발전 방안 모색이 목적이었다.
학년별 맞춤형 협력교육, 학생 참여 동기 ‘쑥쑥’
삼기초는 죽곡초, 석곡초와 연계해 학년별 특성을 반영한 체험‧탐구 중심 공동교육과정을 함께 운영한다.
◆1~2학년: 마을 숲 체험 등 놀이‧체험 위주
◆3~4학년: 생태습지 탐방, 사회 체험 탐구
◆5~6학년: 숲 활동, 독서 토의로 자기주도·소통 역량 강화
이 과정이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참여율을 눈에 띄게 높이고 있다는 평가도 나왔다.
####현장 의견 듣고, 맞춤형 지원 강화
차담회 자리에서는 학생 이동, 교과 협의, 교원 업무 분담 등 실질적 현장 이야기가 오갔다. 전남교육청은 여러 학교에 현실에 맞는 다양한 공동교육과정 모델을 개발하고, 학교 간 연계와 교사 협업체계 지원을 확대해나가기로 했다.
####“지역 특색 살린 교육, 전남만의 미래교육 해법”
김대중 교육감은 “작은학교 경쟁력의 핵심은 지역과 연계한 창의적 교육에 있다”며 “공동교육과정을 통해 학교와 마을, 교사와 학생들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전남교육청은 향후 더 다양한 지역 모델을 발굴, 실효성 있는 작은학교 성장정책을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