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지지율은 왜 이렇게 오르지 않는 것일까

2025-11-16 11:29

add remove print link

당 입장서 여러 호재 터졌지만 지지율은... 위기감 고조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와 송언석 원내대표가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9회국회(정기회) 제12차 본회의에서 대화하고 있다.  / 뉴스1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와 송언석 원내대표가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9회국회(정기회) 제12차 본회의에서 대화하고 있다. / 뉴스1
국민의힘이 지지율을 좀처럼 올리지 못하고 있다. 내년 6월 지방선거를 5개월여 앞두고 당 입장에서 여러 호재가 터지고 있지만 반사 이익조차 못 챙기는 상황이 계속되며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한국갤럽이 지난 14일 공개한 주간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24%로 전주보다 2%포인트(p) 하락했다. 6·3 대선 때 30%대를 기록했던 국민의힘 지지율은 한때 20%대마저 붕괴했다가 8월부터 20%대 초중반 박스권에 갇혀 있다. 이는 더불어민주당이 대체로 40%대 초반을 유지하는 것과는 극명히 대비된다.

국민의힘은 전통적인 지지층으로부터도 완전한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지역적으로는 '보수의 심장'으로 불리는 대구·경북에서도 국민의힘 지지율은 42%로 과반에 미치지 못했다. 이념 성향으로 보면 보수 성향 응답자의 55%만이 국민의힘을 지지한다고 답했다. 중도층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19%로, 민주당(42%)의 절반도 안 된다. 이번 조사에서 무당층이 27%를 기록하면서 국민의힘 지지율보다 많았다.

뼈아픈 성적표다. 10·15 부동산 대책,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 논란, 한미 관세협상,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논란 등을 두고 대여 공세 수위를 높이는 상황에서 받아든 것이라서다.

부동산 이슈는 문재인 정부에서 '벼락 거지'란 말이 나왔을 정도로 민심에 미치는 영향이 큰 이슈이다. 대장동 항소 포기도 적지 않은 국민이 부적절하다고 보고 있다. 그럼에도 이 같은 여론이 국민의힘 지지로는 이어지지 않고 있다. 대체 무슨 이유에서일까.

국민의힘 지지율이 반등하지 못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는 내란 프레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지목된다. 계엄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이은 6·3 대선 패배에도 별다른 쇄신이 없는 상황 자체가 문제라는 지적이 계속된다. 이른바 '윤어게인'과 절연하고 새 출발을 해야 하는데 분명하게 선을 긋지 못하면서 일반 국민의 외면을 자초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각에서 나온다.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와 송언석 원내대표를 비롯한 의원들이 11일 오후 경기 과천시 법무부 청사 앞에서 열린 '대장동 사건 1심 항소 포기' 긴급 현장 규탄대회에서 피켓을 든 채 구호를 외치고 있다. / 뉴스1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와 송언석 원내대표를 비롯한 의원들이 11일 오후 경기 과천시 법무부 청사 앞에서 열린 '대장동 사건 1심 항소 포기' 긴급 현장 규탄대회에서 피켓을 든 채 구호를 외치고 있다. / 뉴스1

중도층을 끌어들이지 못하는 점은 국민의힘에 치명적이다. 외연 확장을 모색하는 모습이 보이지 않은 상황에서 강성 지지층 결집에만 무게를 두면서 선거 결과를 좌우하는 중도층을 공략하는 데 실패했다는 지적을 받는다.

장동혁 대표의 최근 행보도 논란이 되고 있다. 국정감사가 한창일 때 돌연 윤 전 대통령을 면회하면서 정국의 초점을 흩트린 데다 최근에는 부정선거 음모론자이자 극우 성향으로 평가되는 황교안 전 국무총리의 체포에 항의하면서 "우리가 황교안"이라고 언급해 당 안팎에서 여러 말이 나왔다.

실제로 정치권 일각에서 장동혁 대표 리스크가 거론되고 있다. 강성 지지층 결집에만 집중하고 중도층을 겨냥한 메시지와 인물 교체는 미흡하다는 이유에서다. 결집 우선 전략이 언제까지 유효할지 의문이라는 지적과 함께 위기 상황일수록 지지층 결집에만 매몰되면 오히려 중도층 이탈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경고가 제기된다.

국민의힘의 사법 리스크도 점점 커지고 있다. 우선 오는 20일에는 국회 패스트트랙 충돌 사건 1심 선고가 예정돼 있다. 서울남부지법은 징역형이 구형된 송언석 원내대표, 나경원 의원 등 중진 의원들과 벌금형이 구형된 이장우 대전시장, 김태흠 충남도지사에 대해 선고한다. 또 27일에는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로 구속 영장이 청구된 추경호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요구서 국회 본회의 표결이 예고돼 있다.

다음 달 초 예상되는 추 의원의 영장실질심사에서 추 의원이 구속되면 내란 프레임과 특검 수사 국면이 강화되며 국민의힘이 더욱 수세에 몰릴 수밖에 없다. 내달 초 12·3 비상계엄 1년을 맞아 정부·여당이 내란 사건 책임론을 재부각할 것으로 예상되는 점도 국민의힘으로선 악재다.

기사에 인용된 여론 조사는 한국갤럽이 지난 11∼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것이다. 이 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에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 접촉률은 47.5%, 응답률은 11.5%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home 채석원 기자 jdtimes@wikitree.co.kr

NewsChat